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2

고양이

조회 수 657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짐승이름

“남산골 한 늙은이 고양이를 길렀더니/ 해 묵고 꾀들어 요망하기 여우로세/ … 백성들은 쥐 등쌀에 나날이 초췌하고/ 기름 말라 피 말라 피골마저 말랐다네.”

다산 정약용의 우화시 ‘고양이’에 나오는 글이다. 여기서 늙은이는 일반 백성들이며, 쥐는 아전을, 고양이는 감사(수령)를 이른다. 백성들의 재물을 수탈하는 당시 세태를 풍자한 것이다.

혹은 고양이를 쥐 잡는 포졸에 비유한다. 고양이 묘(猫)를 뜯어보면, 해태 치에다 싹묘(苗)를 덧붙여 만든 글자임을 알 수 있다. 해태는 사람의 잘잘못을 알아차려 나쁜 사람을 만나면 받아 버린다. 싹 묘(苗)는 싹이라는 뜻 말고도 ‘작다-사냥하다’라는 말로도 쓰인다. 물론 ‘사냥하다’는 곧 악행을 저지른 이를 잡는다는 뜻으로 봐야겠다. 해서 암행어사를 해태에다 비유하여 치사라고도 이른다.

풀이에 따라서는, ‘고랑이-고앙이-고양이-괭이’로 그 바뀐 과정을 상정하였다.(서정범) 터키말에서는 고양이를 케디(kedi), 몽골말로는 고양이를 머루(mru)라 한다.

또 <계림유사>에서는 고양이를 ‘귀니’(鬼尼)라 했는데, 지금도 지역에 따라서는 ‘고내-고이’, ‘살칭이’라고 이른다. 살칭의 ‘살’은 사이를 뜻한다. 호랑이도 작은 짐승도 아니면서 신과 인간의 사이에서 어떤 소임이 있으리라는 가정에서 생긴 것이 아닌가 한다. 뭔가 고양이가 신통함이 있다고 봤다는 얘기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06
1192 자리 매김 바람의종 2008.10.13 7109
1191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80
1190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67
1189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117
1188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8132
»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72
1186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79
1185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8
1184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86
1183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60
1182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58
1181 용트림, 용틀임 바람의종 2008.10.04 8679
1180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938
1179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75
1178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332
1177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90
1176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121
1175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915
1174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70
1173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938
1172 동사, 형용사 바람의종 2008.09.30 6510
1171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