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7 13:39

내레

조회 수 623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레

고장말

‘-레’는 앞에 연결된 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데, 주로 평안도·제주도에서 쓰인다. ‘-레’는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서만 쓰인다는 점에서 표준어 ‘-가’에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조금 있으느꺼니 남자레 꼴을 한짐 지구 와서 하루밤만 자구 가갔다구 했디.” “십 넌 두구 한번두 씻딜 않구 지냈으느꺼니 그 냄새레 어떻갔소.”(<한국구전설화> 평북편·임석재) ‘-레’는 주어임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토 ‘-(이)라서’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라서>라>래>레)

평안 지역에서 ‘-가’ 대신 ‘-레’가 쓰인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지만, 제주 지역에서 ‘-레’가 쓰인다는 건 잘 알려지지 않았다. “내레 앙 갑니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레’가 평안 지역의 전형적인 말투로 인식되는 것은 제주 쪽보다 사용빈도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두 지역 두루 ‘-레’가 ‘-래’로 실현되기도 하는데, 실제 말투에서 ‘-레’와 ‘-래’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레’의 또다른 형태는 ‘-라’인데, ‘-라’는 평안도와 가까운 황해 북부와 충남 태안·보령 등지에서 사용된다. “그 무이라(무가) 맛이 달디?” 다만, 충남 서해안 쪽에서는 자음 뒤에서 ‘-이라’가 쓰인다. “웬 일잉가아 허구 다아 볼 거 보구서 신방을 들어가 보닝깨, 아 워떤 눔이라 신부를 칼루 찔러서 방이 피가 잔뜩 있단 말여.”(위 책 충남편)

‘-라’ 또한 제주의 ‘-레’처럼 사용빈도가 높지 않은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07
1192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98
119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90
1190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9
1189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84
1188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26
1187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81
118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2
1185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18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21
118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59
1182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86
1181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47
1180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54
1179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4
1178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64
117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8
1176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87
1175 바람의종 2008.11.22 6106
117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93
1173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37
1172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38
117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6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