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7 13:39

내레

조회 수 621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레

고장말

‘-레’는 앞에 연결된 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데, 주로 평안도·제주도에서 쓰인다. ‘-레’는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서만 쓰인다는 점에서 표준어 ‘-가’에 대응되는 고장말이다. “조금 있으느꺼니 남자레 꼴을 한짐 지구 와서 하루밤만 자구 가갔다구 했디.” “십 넌 두구 한번두 씻딜 않구 지냈으느꺼니 그 냄새레 어떻갔소.”(<한국구전설화> 평북편·임석재) ‘-레’는 주어임을 강조하여 나타내는 토 ‘-(이)라서’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라서>라>래>레)

평안 지역에서 ‘-가’ 대신 ‘-레’가 쓰인다는 사실은 잘 알려졌지만, 제주 지역에서 ‘-레’가 쓰인다는 건 잘 알려지지 않았다. “내레 앙 갑니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레’가 평안 지역의 전형적인 말투로 인식되는 것은 제주 쪽보다 사용빈도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두 지역 두루 ‘-레’가 ‘-래’로 실현되기도 하는데, 실제 말투에서 ‘-레’와 ‘-래’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레’의 또다른 형태는 ‘-라’인데, ‘-라’는 평안도와 가까운 황해 북부와 충남 태안·보령 등지에서 사용된다. “그 무이라(무가) 맛이 달디?” 다만, 충남 서해안 쪽에서는 자음 뒤에서 ‘-이라’가 쓰인다. “웬 일잉가아 허구 다아 볼 거 보구서 신방을 들어가 보닝깨, 아 워떤 눔이라 신부를 칼루 찔러서 방이 피가 잔뜩 있단 말여.”(위 책 충남편)

‘-라’ 또한 제주의 ‘-레’처럼 사용빈도가 높지 않은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39
»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19
487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95
486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37
485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89
484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19
483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37
482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0
481 바람의종 2008.09.26 5197
480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36
479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478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64
477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597
476 바람의종 2008.09.19 7417
475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03
474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70
473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66
472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684
471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26
470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686
469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97
468 바람의종 2008.09.06 5415
467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