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01 05:16

사슴

조회 수 715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슴

짐승이름

주몽이 고구려를 세우고 비류국을 합병할 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흰사슴을 잡아 큰 나무에 매달아 놓고 낮과 밤으로 울게 하면서 주문을 외웠다. 마침내 큰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비류국이 순식간에 물바다가 됐다. 겁이 난 송양왕은 할 수 없이 백성들과 더불어 항복했다.

여기 주몽은 주문을 외워 비를 내리게 하는 사제였고 사슴은 영적인 힘을 갖추고 있어 주술 효험을 보장했음을 보여준다. 달리 사슴은 하늘에 제사를 올릴 때 제단에 바치는 제물 곧 희생이라고 할 수도 있다. 경북 고령의 암각화에 드러난 사슴의 뿔은 특별하게 사슴을 조상신으로 여기는 녹각숭배(鹿角崇拜)의 상징이기도 하다. 사슴은 머리 위로 뿔이 나무처럼 돋아나니 땅이 푸나무를 길러 이바지하는 바와 크게 다르지 아니한 것으로 봤던 듯하다. 사슴 녹(鹿)도 머리 위로 뿔이 나온 것과 그 머리와 다리를 본뜬 것이다.

옛말로 사슴은 ‘사 ’(청산별곡)이었다. 어근 ‘삿-’에 접미사 ‘- ’이 붙어 이루어진 것으로 풀 수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고라니·놀갱이·사섬·사숨·사시미라고도 이른다. ‘삿’이란 어떤 뜻이 있는가. ‘ -슷’과 같은 낱말겨레에 속하는 것으로 ‘사이’란 말로 풀면 좋을 듯하다. 몸집이 큰 짐승인 소나 말도 아니고, 그렇다고 토끼와 같이 작은 짐승은 더욱 아니기에 그러하다. 일본말로는 ‘시카’(sika)라 한다. 이는 ‘삿’과 같은 형태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72
1192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98
119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323
1190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61
1189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86
1188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30
1187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81
118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5
1185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18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38
118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64
1182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87
1181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51
1180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56
1179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84
1178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68
117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11
1176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89
1175 바람의종 2008.11.22 6107
117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99
1173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46
1172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41
117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6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