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9 22:04

수만이

조회 수 624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만이

사람이름

세조 7년(1461), 충청도 아산에 사는 관노 수만(禾萬)이 사헌부에 글을 올렸다. “이태 전 황수신이 진휼사로 왔을 때 친척에게 탄원(장고)케 하여 관둔전과 관아의 남새밭을 떼어 받았습니다. 그 땅은 제 아비·할아비로부터 대대로 부쳐먹던 밭입니다. 또 황수신은 관아의 마흔여덟칸짜리 기와집을 스물두칸짜리 초가집으로 줄여 샀습니다” 하였다. 만에 하나 이 말이 맞다면 황수신을 벌주어야 하고, 아니면 수만이는 공신을 헐뜯은 죄로 벌받아야 한다고 사헌부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이름접미사에 ‘만’이 있다. 강만이·게만이·돌만이·둘만이·보리만이·복만이·불만이·설만이·솔만이·알만이·흔만이·흘리만이 따위 사내이름에서 확인된다. 이 이름접미사는 어떤 뜻일까? 강만 하고 알 만하여 ‘강만이·알만이’일까? 심마니말 ‘마니’는 사람을 가리킨다. 심마니/심메마니는 심(산삼)을 캐는 ‘사람’이다. 똘마니는 도둑이나 거지 집단에서 부림을 당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이름접미사 ‘만’ 또한 사람을 이르는 듯하다.

심마니말 너패·노갱이·답승·살푸·송쿠·야사·투화리 따위는 만주·여진말에서 비롯됐는데, 낱낱 곰·개·소금·숟가락·쥐·눈·불을 이른다. 그뿐만 아니라 심마니말에는 중국말도 적잖다. 고장말에도 심마니말처럼 이웃 언어와 오랫동안 교류했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기도 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51
2820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11
2819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12
2818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216
2817 아이들밖에 없다 (밖에) 바람의종 2008.04.30 6216
2816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23
2815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233
2814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35
2813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235
2812 과반수 이상 바람의종 2008.08.27 6238
»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41
2810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42
2809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45
2808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46
2807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48
2806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6249
2805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250
2804 불닭 바람의종 2009.07.13 6256
2803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58
2802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2
2801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2800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268
2799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