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9 22:04

수만이

조회 수 623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만이

사람이름

세조 7년(1461), 충청도 아산에 사는 관노 수만(禾萬)이 사헌부에 글을 올렸다. “이태 전 황수신이 진휼사로 왔을 때 친척에게 탄원(장고)케 하여 관둔전과 관아의 남새밭을 떼어 받았습니다. 그 땅은 제 아비·할아비로부터 대대로 부쳐먹던 밭입니다. 또 황수신은 관아의 마흔여덟칸짜리 기와집을 스물두칸짜리 초가집으로 줄여 샀습니다” 하였다. 만에 하나 이 말이 맞다면 황수신을 벌주어야 하고, 아니면 수만이는 공신을 헐뜯은 죄로 벌받아야 한다고 사헌부에서 임금께 아뢰었다.

이름접미사에 ‘만’이 있다. 강만이·게만이·돌만이·둘만이·보리만이·복만이·불만이·설만이·솔만이·알만이·흔만이·흘리만이 따위 사내이름에서 확인된다. 이 이름접미사는 어떤 뜻일까? 강만 하고 알 만하여 ‘강만이·알만이’일까? 심마니말 ‘마니’는 사람을 가리킨다. 심마니/심메마니는 심(산삼)을 캐는 ‘사람’이다. 똘마니는 도둑이나 거지 집단에서 부림을 당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이름접미사 ‘만’ 또한 사람을 이르는 듯하다.

심마니말 너패·노갱이·답승·살푸·송쿠·야사·투화리 따위는 만주·여진말에서 비롯됐는데, 낱낱 곰·개·소금·숟가락·쥐·눈·불을 이른다. 그뿐만 아니라 심마니말에는 중국말도 적잖다. 고장말에도 심마니말처럼 이웃 언어와 오랫동안 교류했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기도 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37
1192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68
119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52
1190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5
1189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58
1188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16
1187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57
118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290
1185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1
118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85
118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57
1182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85
1181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39
1180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45
1179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2
1178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53
117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6
1176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40
1175 바람의종 2008.11.22 6105
117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89
1173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17
1172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37
117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5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