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7 20:12

돟습니다레!

조회 수 6858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돟습니다레!

고장말

‘-레’는 말끝에 붙여 쓰는 평안도말이다. “날이 저물어서 그러니 하룻나주 자구 갑시다레.”(<한국구전설화> 평북편, 임석재) “날래 집이 가서 밥을 먹읍시다레.”(위 책) 표준어의 ‘-그려’와 대응되는 말로, 소설·영화·드라마 등에서 북녘 사람 말투를 표현할 때 쓰는 전형적인 표지다. “내레 피양에서 왔수다레.” “님제 참 용쑤다레, 참 잘 맡헸수다” “여보 님제레 용헌 점배치라문 뭐던지 다 잘 알갔수다레.”

“됐수다레, 그까짓 술 한 사발 가지고 내 목을 축이겠수. …”(<홍경래>, 문관식)처럼 ‘-레’는 말할이가 들을이에게 단호한 뜻을 드러내기도 하며, “그저 고맙수다레, 대장동무. 내레 기래서 우리 대장 동무가 최고야요.”(<돼지들>, 이정규) “아줌니, 고맙수다레. 내레 이 은혜는 잊지 않겠습다.”(<계수나무 향기는 바람에 날리고>, 박명애)와 같이 반갑거나 고마운 마음을 드러내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레’는 들을이에게 말할이의 느낌을 드러내거나, 말하는 내용을 강조하고 싶을 때 쓰는 전형적인 평안도말이다.

‘-레’의 또다른 형태는 ‘-게레’다. 다만, ‘-레’가 아주높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이는 반면, ‘-게레’는 예사낮춤 말 뒤에 쓰인다는 점이 다르다. “돟습메게레”(<평북방언사전>, 김이협) “내레 잠이 안 와 죽갔네게레” “그만 못하웨게레(그만 못하네그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79
3436 “사겨라” “바꼈어요” 風文 2024.05.31 38
3435 “산따” “고기떡” “왈렌끼” 風文 2024.05.31 81
3434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風文 2024.05.29 87
3433 어이없다 風文 2024.05.29 112
3432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887
3431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1000
343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1053
342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1062
3428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375
3427 갑질 風文 2024.03.27 2354
3426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2085
3425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961
3424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2321
3423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261
3422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2042
3421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2140
3420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2058
3419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935
3418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2125
3417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2175
3416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2024
3415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23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