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6 18:49

주소서

조회 수 587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소서

언어예절

‘공손함’을 한자락 걸치는 말이 여럿 있다. 그 중에서도 ‘주다’는 젖먹이 때부터 익은 말로서, ‘주시다·드리다·올리다·바치다’란 높임말이 있고, ‘달라·다오’는 주로 평대에 쓴다. 하느님·임금 …한테 비는 ‘~ 주시옵소서’ 꼴이 맏높이는 말이다. 이는 남에게 베푸는 맛을 풍기는 까닭에 잘못 쓰면 곤란을 당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집안 청소를 하면서 “오늘은 어디 청소 한번 해 줄까?”란다면 가족이 듣기에 거북할 터이다. 자기집 일을 하면서 무엇을 베푸는 말투인 까닭이다. 무엇을 요청·애원·청원할 때 ‘-어 주다’ 꼴을 특히 많이 쓴다. 공손한 느낌을 주면서 바라는 뜻을 강조하는 구실을 하는 까닭이다. 문제는 그럴 것까지 없는 말에서도 버릇으로 쓴다는 점이다.

인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앉아서 하는 것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사항은 배부해드린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말씀해 주시지요/ 저희에게 제일 좋은 학교를 허락해 주시옵소서/ 주문해 주신 제품은 오늘 발송됩니다 ….(손질한 말 ⇒ ~ 인사하시기 바랍니다/ ~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하십시오/ 말씀하시지요/ ~ 허락하소서/ 주문하신 제품은 ~.)

여기서 ‘주다’는 높임꼴 명사형(주시기)으로 바뀌어 ‘바랍니다’란 말의 목적어가 됐다. 에둘러 말할 때 즐겨 쓰는 서술어(바랍니다)로도 모자라 공손까지 더했으니 ‘공손을 뜬다’는 말을 들을 법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2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89
2908 덕분 바람의종 2009.07.13 5804
2907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08
290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11
2905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15
2904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17
2903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25
2902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31
2901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63
»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70
2899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75
2898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82
2897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891
2896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895
2895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897
2894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02
2893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02
289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03
2891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08
2890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10
2889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3
2888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16
2887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