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3 21:07

어디 가여?

조회 수 488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디 가여?

고장말

‘-여’는 충청도말의 ‘-유’와 같이 ‘-요’가 그 형태를 달리하는 방언형이다. ‘-여’는 경북 일부 지역과 강원·경기·충청 일부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여’는 주로 중부 지역에서 쓰인다. “이연이 어매가 그렇게 갔잖아여.”(웰컴투 동막골) “우리 삼촌이 나버다 두 살 위잖아여.”(서울토박이말자료집) “다숫 번 하는 늠이 없더래여.”(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고마 솥에다 넣어 삶아가지고 시어머이 믹있디이 고만 먹고 빙이 나아여.”(위 책 경북편)

우리말에서 높임토 ‘-요’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이후로 본다. 따라서 ‘-유’나 ‘-여’가 쓰이기 시작한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일이다. 요즘은 매체가 발달하고 교육 수준이 높아져 ‘-요’가 널리 쓰이지만, 그 이전에는 ‘-요’와 유사한 구실을 하는 ‘-라우, -예, -마씀/양, -이다’ 등이 널리 쓰였을 것이다.

최근 피시통신에서 ‘-여’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때 ‘-여’는 성격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익명성이 보장되는 가상공간에서 상대의 나이·지위 등을 알기 어렵기에 사회적 실재감이 결여되기 마련이다. 곧, 들을이에게 말을 낮춰야 할지 높여야 할지 종잡기가 어렵다. 이런 때 ‘-여’를 쓰는데, 이때 ‘-여’는 표준어 ‘-요’와 대응하는 말이 아니다. 사이버 공간에서 ‘-여’는 얼버무려 쓰는 말로 보인다. 따라서 ‘-여’는 높임말도, 낮춤말도 아닌 셈이다. “즐여!” “즐감 하세여.”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43
1170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411
1169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122
1168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37
1167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46
1166 밤을 지새다, 지새우다 바람의종 2008.09.27 12581
1165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25
1164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22
1163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665
1162 몇일, 며칠 바람의종 2008.09.26 6707
1161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96
1160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27
1159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908
1158 바람의종 2008.09.26 5218
1157 윗옷, 웃옷 바람의종 2008.09.25 7838
1156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294
1155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40
1154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940
1153 당신은 누구시길래 바람의종 2008.09.24 8285
1152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905
1151 맨날, 만날 바람의종 2008.09.24 7425
1150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72
1149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9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