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23 21:07

어디 가여?

조회 수 484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디 가여?

고장말

‘-여’는 충청도말의 ‘-유’와 같이 ‘-요’가 그 형태를 달리하는 방언형이다. ‘-여’는 경북 일부 지역과 강원·경기·충청 일부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여’는 주로 중부 지역에서 쓰인다. “이연이 어매가 그렇게 갔잖아여.”(웰컴투 동막골) “우리 삼촌이 나버다 두 살 위잖아여.”(서울토박이말자료집) “다숫 번 하는 늠이 없더래여.”(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고마 솥에다 넣어 삶아가지고 시어머이 믹있디이 고만 먹고 빙이 나아여.”(위 책 경북편)

우리말에서 높임토 ‘-요’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이후로 본다. 따라서 ‘-유’나 ‘-여’가 쓰이기 시작한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일이다. 요즘은 매체가 발달하고 교육 수준이 높아져 ‘-요’가 널리 쓰이지만, 그 이전에는 ‘-요’와 유사한 구실을 하는 ‘-라우, -예, -마씀/양, -이다’ 등이 널리 쓰였을 것이다.

최근 피시통신에서 ‘-여’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때 ‘-여’는 성격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익명성이 보장되는 가상공간에서 상대의 나이·지위 등을 알기 어렵기에 사회적 실재감이 결여되기 마련이다. 곧, 들을이에게 말을 낮춰야 할지 높여야 할지 종잡기가 어렵다. 이런 때 ‘-여’를 쓰는데, 이때 ‘-여’는 표준어 ‘-요’와 대응하는 말이 아니다. 사이버 공간에서 ‘-여’는 얼버무려 쓰는 말로 보인다. 따라서 ‘-여’는 높임말도, 낮춤말도 아닌 셈이다. “즐여!” “즐감 하세여.”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7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52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0160
2970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743
2969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26
2968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776
2967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608
2966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1997
2965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044
2964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3950
2963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10
2962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48
2961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25
2960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365
2959 곤죽 風磬 2006.09.29 12089
2958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41
2957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187
2956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459
2955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36
2954 바람의종 2008.07.28 6286
2953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376
295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548
2951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944
2950 공공칠 바람의종 2011.11.10 10945
2949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