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18 16:52

뒷간이

조회 수 799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뒷간이

사람이름

성종 2년(1471년), 영흥사람 효산은 안막삼·임갈헌·황을생·北叱間(북질간) 무리와 막동이를 죽이고 옷과 말을 빼앗았다. 법에 따라 효산은 참부대시, 안막삼 등은 참형에 해당한다고 형조에서 아뢰었다. 조선 때 법에, 사형은 추분 지나 집행하는 것이 원칙이나 큰 죄인에게는 지체 없이 행하였으니 참부대시라고 한다.

北叱間은 ‘뒷간’이며 ‘둣간이/두간이/둑간이’라는 이름도 이에 잇닿아 있다. ‘-간’(間)은 집안의 한 공간을 이르는 말인데, 사람이름에 막간·솟간·숫간/수간이·엇간·잿간·종간·헛간이가 보인다. 막간은 뒷간의 고장말 ‘소막간’, 솟간은 외양간 또는 솥을 두는 곳인 듯도 하다. 숫간은 몸채 뒤에 자그마하게 지은 광이나 객실을 이른다. 잿간은 재를 부려두는 곳이다.

하필 사람이름을 뒷간이라 했을까? 짐작건대 마당이·마당덕이·마당복이·마당쇠, 부엌이·부엌놈이·부엌덕이·부엌석이·부엌쇠는 마당과 부엌에서 났을 법하다. ‘길갓티’라는 사람은 길가에서 난 모양이다. 옛말에서 앞·뒤는 남·북을, 왼쪽·오른쪽은 동·서를 이르기도 한다. 외양간의 ‘외양’은 본디 오 양/오희양(廐)으로, 말과 소가 있던 곳이며, 달리 ‘멀험·쇠멀험’이라고도 했다. 뒷간과 처가는 멀수록 좋다 했던가? 외양간은 바깥채에 있으며 돼지우리·헛간이 함께 꾸려지기도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40
1456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18
1455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21
1454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22
1453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23
1452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26
1451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28
1450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31
144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32
1448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34
1447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0
1446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40
1445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42
1444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43
1443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44
1442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46
1441 -씩 바람의종 2010.01.23 9348
1440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49
1439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55
1438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56
1437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58
1436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63
1435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