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9 04:13

지나친 완곡

조회 수 469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나친 완곡

언어예절

말이 변하긴 하지만 두고 보기가 어려운 것들이 있다. 좋은 말을 버려놓는 노릇도 그렇다.

“옛날처럼 따뜻하게 대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래서 평소 소신대로 방송 정책의 독립을 위해서 애써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자료실 많은 이용 바라겠습니다.”
"고객 여러분의 많은 성원 바라겠습니다.”

흔히 보고 듣는 말인데, 뭔가 맞갖잖고 어설프다. 한국인이면 누구나 그 화근이 ‘-겠-’인 것을 짚어낼 수 있겠다. ‘-겠-’은 때(미래)를 전제로 ‘추측·예견·의지·가능성·능력’ 따위를 나타내는 서술 보조사다. 듣는이를 생각하여 말투를 누그러뜨리고자 할 때도 쓴다.

위 따온말들을, 될수록 부드럽게, 당장보다는 나중 어느 시점부터 그렇게 하겠다는 다짐 정도로 헤아려 읽을 수는 있겠다. 그렇지만 ‘바라다’는 ‘현재 의지’로 진행되는 것이지 현재를 뛰어넘은 ‘미래 의지’로 쓸 말이 아니다. 그냥 ‘바란다·바라네·바랍니다’로 써야 솔직하고 간곡해지며 자연스럽다. 같은 계열로 ‘희망하다·소망하다·원하다·기대하다·빌다’ 들이 있는데, 이들도 ‘-겠-’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옆자리에 앉아도 되겠습니까? 그렇게 해 주신다면 얼마나 고맙겠습니까! 문 좀 닫아 주시겠어요? 자네 좀더 열심히 해야겠어!”처럼 부탁·명령·판단이 개입될 때 ‘-겠-’을 쓰면 좀 간드러지고 조심스런 말투가 되지만, 잘못 쓰면 자칫 과공이 비례가 된다는 말을 듣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62
488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19
487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95
486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38
485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89
484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19
483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50
482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1
481 바람의종 2008.09.26 5197
480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46
479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478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64
477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597
476 바람의종 2008.09.19 7426
475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18
474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70
473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69
»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693
471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31
470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689
469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12
468 바람의종 2008.09.06 5425
467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