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9 04:13

지나친 완곡

조회 수 469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나친 완곡

언어예절

말이 변하긴 하지만 두고 보기가 어려운 것들이 있다. 좋은 말을 버려놓는 노릇도 그렇다.

“옛날처럼 따뜻하게 대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래서 평소 소신대로 방송 정책의 독립을 위해서 애써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자료실 많은 이용 바라겠습니다.”
"고객 여러분의 많은 성원 바라겠습니다.”

흔히 보고 듣는 말인데, 뭔가 맞갖잖고 어설프다. 한국인이면 누구나 그 화근이 ‘-겠-’인 것을 짚어낼 수 있겠다. ‘-겠-’은 때(미래)를 전제로 ‘추측·예견·의지·가능성·능력’ 따위를 나타내는 서술 보조사다. 듣는이를 생각하여 말투를 누그러뜨리고자 할 때도 쓴다.

위 따온말들을, 될수록 부드럽게, 당장보다는 나중 어느 시점부터 그렇게 하겠다는 다짐 정도로 헤아려 읽을 수는 있겠다. 그렇지만 ‘바라다’는 ‘현재 의지’로 진행되는 것이지 현재를 뛰어넘은 ‘미래 의지’로 쓸 말이 아니다. 그냥 ‘바란다·바라네·바랍니다’로 써야 솔직하고 간곡해지며 자연스럽다. 같은 계열로 ‘희망하다·소망하다·원하다·기대하다·빌다’ 들이 있는데, 이들도 ‘-겠-’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옆자리에 앉아도 되겠습니까? 그렇게 해 주신다면 얼마나 고맙겠습니까! 문 좀 닫아 주시겠어요? 자네 좀더 열심히 해야겠어!”처럼 부탁·명령·판단이 개입될 때 ‘-겠-’을 쓰면 좀 간드러지고 조심스런 말투가 되지만, 잘못 쓰면 자칫 과공이 비례가 된다는 말을 듣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33
3018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12
3017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473
3016 찰나 바람의종 2008.04.14 6697
3015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564
3014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154
301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11
3012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385
3011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05
3010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75
300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83
300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32
3007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46
3006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01
3005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36
30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07
3003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529
3002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024
300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62
3000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482
299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34
2998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145
2997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79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