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7 04:19

코끼리

조회 수 768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코끼리

짐승이름

몹시 어려운 일을 비겨 “코끼리 바늘구멍에 들어가기”라 이른다. 백제 ‘금동용봉봉래산향로’에도 코끼리가 들어 있다. 현명하며 신중하고 신성함, 힘의 상징으로 코끼리는 우리 문화 속에도 자리잡고 있다.

흰코끼리는 석가의 화신으로도 통하는데, 어머니 마야 부인 꿈에 어금니 여섯 달린 흰코끼리가 부인에게 일렀다. “소자는 다생의 인연으로 부인께 잉태하오니 어여삐 여기소서!” 하면서 옆구리로 들어와 석가를 잉태하게 됐다는 이야기.

공자 제례를 ‘석전대제’라 한다. 이때 코끼리 모양 술항아리를 쓰는데, 이를 상준(象奠)이라 이른다. 힌두교에서는 코끼리가 거북을 밟고 우주를 등에 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는데, 거룩한 존재임을 상징한다.

코끼리를 옛말로는 ‘고키리’라 했다.(월인석보) ‘고’는 히읗 종성이 붙은 형태로서, 고ㅎ기리에서 고키리>코끼리로 바뀐다. 그러니까 이는 고(코)와 ‘길’에 ‘이’가 붙어 된 말이다. 말 그대로 ‘코가 긴 짐승’이다. 오늘날에도 고뿔 감기라 하거니와 여기 ‘고’는 고>코의 과정을 겪은 뒤에도 여전히 쓰이고 있다. ‘갈치’가 쓰이지만 동시에 ‘칼치’가 함께 쓰임과 같은 경우다.

한자말이지만, 어느 분야에서 가장 선구적인 사람을 일러 비조(鼻祖)라 한다. 짐승이 어미의 태반에서 가장 먼저 그 모습과 기능이 활성화되는 조직이 코이기에 그렇게 쓴다. 그러니 코가 생명의 상징으로 떠오름 또한 이상할 것이 없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11
1192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75
1191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674
1190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672
1189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670
1188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668
118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665
1186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63
1185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660
1184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659
118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58
1182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656
1181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55
1180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52
1179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47
1178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645
1177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642
1176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40
1175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640
1174 깡패 바람의종 2008.02.03 7638
1173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634
1172 뒤웅스럽다 風磬 2006.11.16 7633
1171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6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