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7 04:15

껌과 고무

조회 수 970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껌과 고무

외래어

껌(gum)은 원래 중앙아메리카의 원주민 일부가 사포딜라 수액이 굳은 치클을 씹던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이것이 1860년께 미국에 전해져서 상품화됐고, 두 차례 세계대전을 통해 미군이 세계로 퍼뜨린 것으로 알려졌다. 껌의 본디 뜻은 ‘고무’여서 영어 사전에는 고무라는 풀이가 먼저 올랐다. 그렇다면 ‘고무’라는 말은 어디서 왔을까.

고무가 외래어라는 의식은 많이 희박해진 듯하나,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프랑스어 ‘gomme’에서 왔다고 돼 있다. 그런데 바로 들어오지 않고 일본어 ‘ゴム’를 통해서 들어온 것으로 짐작된다. 여기에 흥미로운 사실 두 가지가 있다. 일본어 사전들을 보면 프랑스어 ‘gomme’ 또는 네덜란드어 ‘gom’에서 왔다는 서로 다른 내용이 나온다. 이렇듯 외래어의 공급처를 제대로 알아내기가 힘든 경우가 더러 있다. 또 한 가지는 프랑스어 ‘gomme’에 해당되는 영어가 ‘gum’인데, 이 두 낱말의 어원이 그리스어 ‘kommi’라고 한다. 곧 같은 말을 우리는 갈라서 쓰고 있는 것이다.

껌은 ‘걸’, ‘가이드’, ‘기어’처럼 ‘ㄱ’으로 소리 내지 않고 ‘가운’, ‘게임’, ‘골키퍼’처럼 대개 ‘ㄲ’으로 소리 내며, 더욱이 적을 때도 ‘ㄲ’으로 적는 관습이 있어서 ‘껌’으로 굳어졌다. 반면 ‘고무’는 일본어를 거쳐 들어오다 보니 ‘곰므’나 ‘곰’이 아닌 ‘고무’가 되었다. 이렇게 ‘껌’과 ‘고무’는 본디 같은 말인데, 어느 하나에 두 가지 의미가 다 붙어 들어오지 않고 의미에 따라 서로 나뉘어 들어왔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56
216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54
2159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54
2158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753
2157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51
2156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49
2155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46
2154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37
2153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736
2152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35
2151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2150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34
2149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30
2148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29
2147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729
2146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29
2145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23
2144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722
2143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21
2142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720
2141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17
2140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17
2139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