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6 03:42

조회 수 5446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장말

“아부지, 돌 굴러가유!”

어린 시절 충청도 말씨가 느린 것을 빗댈 때 자주 듣던 말이다. “아녀유, 지년이 원제유?”(<공산토월> 이문구) ‘-유’는 글자꼴로 보아 표준어의 높임토 ‘-요’에 대응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충청도 말 ‘-유’는 경상도의 ‘-예’, 전라도의 ‘-라우’, 제주도의 ‘-마씀/양’처럼 말끝에 두어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할아버지 손님 왔슈.” “뉘라느냐?” “위떤 뇌인양반유.”(<관촌수필> 이문구)

‘-유’ 앞에서 말끝에 쓰여 반말을 나타내는 ‘-어’는(밥 먹었어. 집에 갔어) ‘-이’로 바뀌기도 한다. “귓싸대기를 쌔려번질까 허다가 확 집어 저리 내던져 버렸슈. 붸가 여간 안 나더랑께유. 뒈지는 시늉 허길래 살려 줬이유.”(위 책)
“농사먼 지었이유.” “보리쌀 팔아 왔이유.”

잘 했쥬(<했지유), 왔슈(<왔어유), 그류(<그리유)와 같이 ‘-유’ 앞에 ‘ㅣ’가 탈락하고, 앞에 있는 소리와 합쳐져 ‘-슈/쥬/류’와 같이 발음하기도 한다. 다만 ‘-슈’는 때에 따라서 ‘어서 오시우 > 어서 오슈’와 같이 ‘시우’가 줄어든 말이기도 하다. 이때 ‘-우’는 두루높임을 나타내는 표준어 ‘요’가 아니라, 예사높임을 나타내는 ‘-오’다. “정신 좀 드슈? 내가 누구여, 누구여 내가 …… 알어보겄느냐먼?” “어디 갔다 오슈?”

말끝을 다소 느릿느릿 소리내야 그 말맛을 느낄 만하다. “말이 느리니께 행동두 굼뜬 거 가티유?”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5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1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005
488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38
487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315
486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56
485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411
484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51
483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673
482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908
481 바람의종 2008.09.26 5218
480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940
479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72
478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89
477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18
476 바람의종 2008.09.19 7452
475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004
474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14
473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292
472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16
471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98
470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714
469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98
» 바람의종 2008.09.06 5446
467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2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