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26

거북

조회 수 674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북

짐승이름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놔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불에 구워 먹으리라.” 가야노래 ‘구지가’다. 노래에서 거북은 김수로의 탄생과 관련된 영적 존재다. 그 지명을 구지봉이라 함도 관련이 깊다. 주몽의 고구려 건국 과정이나 바리공주 이야기에서도 거북이 등장한다. 갑골점이라 하여 거북뼈로 점을 친다. 갑(甲)은 거북을 뜻하는 글자다. 토템 신앙 중개자로서 거북을 신성시한 것이다. 이규보의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이나 별주부전의 거북은 모두 그 영험을 의인화해 드러내는 얘기다.

옛말로 거북은 ‘거붑’이었다. 끝 음절 ‘붑’에서 같은 비읍 소리 충돌 현상으로 거붑이 거북으로 바뀐 것이다. 한자말 귀복(龜卜)에서 거복-거북이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거북 토템은 한자가 들어오기 이전에 있었다. 양산 지방의 모심기 민요 가운데 왕거미 노래에서 거미가 거북이었음을 떠올릴 수 있다. 우리말 거미(거무)-검에서 그 원형을 찾음이 더 온당하다. 여기 검(감)은 임금으로 이어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가미(神)가 되고 거북을 가메(game)라 함을 보면, 한자 기원이란 설득력이 떨어진다. 최남선의 <신자전>에서 ‘검’을 신으로 풀이하고 있음 또한 한 방증이다. 동아리하자면, 거미(거무)의 검에 -음이 붙어 거뭄-거붑-거북이 된 것이다. <본초강목>에서는 거북의 수컷을 뱀으로 상정한다.

거북은 때로 남근 혹은 태양 숭배를 드러내기도 하는 상징성이 많은 짐승이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89
3084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1094
3083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917
3082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1203
3081 치욕의 언어 風文 2021.09.06 1101
3080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1041
3079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99
3078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964
3077 옹알이 風文 2021.09.03 1304
3076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895
3075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1011
3074 대명사의 탈출 風文 2021.09.02 1122
3073 말의 토착화 / 국가와 교과서 風文 2020.07.20 2382
307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다르게 생각해야 '물건'이 보인다 風文 2020.07.19 2786
3071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風文 2020.07.19 2355
307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디어도 끈기다 風文 2020.07.19 2732
306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86
306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포도밭의 철학 風文 2020.07.17 2645
3067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風文 2020.07.16 2668
306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대기업은 싫습니다 風文 2020.07.15 2563
3065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300
306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아이들은 잡초처럼 키워라 風文 2020.07.14 2595
3063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2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