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26

거북

조회 수 675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북

짐승이름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놔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불에 구워 먹으리라.” 가야노래 ‘구지가’다. 노래에서 거북은 김수로의 탄생과 관련된 영적 존재다. 그 지명을 구지봉이라 함도 관련이 깊다. 주몽의 고구려 건국 과정이나 바리공주 이야기에서도 거북이 등장한다. 갑골점이라 하여 거북뼈로 점을 친다. 갑(甲)은 거북을 뜻하는 글자다. 토템 신앙 중개자로서 거북을 신성시한 것이다. 이규보의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이나 별주부전의 거북은 모두 그 영험을 의인화해 드러내는 얘기다.

옛말로 거북은 ‘거붑’이었다. 끝 음절 ‘붑’에서 같은 비읍 소리 충돌 현상으로 거붑이 거북으로 바뀐 것이다. 한자말 귀복(龜卜)에서 거복-거북이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거북 토템은 한자가 들어오기 이전에 있었다. 양산 지방의 모심기 민요 가운데 왕거미 노래에서 거미가 거북이었음을 떠올릴 수 있다. 우리말 거미(거무)-검에서 그 원형을 찾음이 더 온당하다. 여기 검(감)은 임금으로 이어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가미(神)가 되고 거북을 가메(game)라 함을 보면, 한자 기원이란 설득력이 떨어진다. 최남선의 <신자전>에서 ‘검’을 신으로 풀이하고 있음 또한 한 방증이다. 동아리하자면, 거미(거무)의 검에 -음이 붙어 거뭄-거붑-거북이 된 것이다. <본초강목>에서는 거북의 수컷을 뱀으로 상정한다.

거북은 때로 남근 혹은 태양 숭배를 드러내기도 하는 상징성이 많은 짐승이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38
3084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511
3083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507
3082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501
3081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95
3080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494
3079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490
3078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478
3077 노가리 까다 바람의종 2008.02.22 13477
3076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61
3075 노파심 바람의종 2010.11.01 13459
3074 ‘강시울’과 ‘뒤매’ 바람의종 2010.06.20 13450
3073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444
3072 초를 치다 바람의종 2010.09.05 13439
3071 좋으네요, 좋네요 바람의종 2010.04.19 13439
3070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439
3069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34
3068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428
3067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바람의종 2010.01.27 13417
30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17
3065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417
3064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바람의종 2010.01.28 13406
3063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바람의종 2010.06.01 133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