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26

거북

조회 수 675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북

짐승이름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놔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불에 구워 먹으리라.” 가야노래 ‘구지가’다. 노래에서 거북은 김수로의 탄생과 관련된 영적 존재다. 그 지명을 구지봉이라 함도 관련이 깊다. 주몽의 고구려 건국 과정이나 바리공주 이야기에서도 거북이 등장한다. 갑골점이라 하여 거북뼈로 점을 친다. 갑(甲)은 거북을 뜻하는 글자다. 토템 신앙 중개자로서 거북을 신성시한 것이다. 이규보의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이나 별주부전의 거북은 모두 그 영험을 의인화해 드러내는 얘기다.

옛말로 거북은 ‘거붑’이었다. 끝 음절 ‘붑’에서 같은 비읍 소리 충돌 현상으로 거붑이 거북으로 바뀐 것이다. 한자말 귀복(龜卜)에서 거복-거북이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거북 토템은 한자가 들어오기 이전에 있었다. 양산 지방의 모심기 민요 가운데 왕거미 노래에서 거미가 거북이었음을 떠올릴 수 있다. 우리말 거미(거무)-검에서 그 원형을 찾음이 더 온당하다. 여기 검(감)은 임금으로 이어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가미(神)가 되고 거북을 가메(game)라 함을 보면, 한자 기원이란 설득력이 떨어진다. 최남선의 <신자전>에서 ‘검’을 신으로 풀이하고 있음 또한 한 방증이다. 동아리하자면, 거미(거무)의 검에 -음이 붙어 거뭄-거붑-거북이 된 것이다. <본초강목>에서는 거북의 수컷을 뱀으로 상정한다.

거북은 때로 남근 혹은 태양 숭배를 드러내기도 하는 상징성이 많은 짐승이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02
2644 로드맵 바람의종 2010.02.15 6806
2643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812
2642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813
2641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813
2640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816
2639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817
2638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819
2637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821
2636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828
2635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832
2634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832
2633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833
2632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834
2631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36
2630 조바심하다 바람의종 2007.03.24 6837
2629 노다지 바람의종 2008.02.03 6839
2628 졸이다, 조리다 바람의종 2008.10.14 6840
2627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42
2626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44
2625 버버리 코트 바람의종 2008.02.12 6847
2624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848
262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