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4 02:26

거북

조회 수 672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북

짐승이름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놔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불에 구워 먹으리라.” 가야노래 ‘구지가’다. 노래에서 거북은 김수로의 탄생과 관련된 영적 존재다. 그 지명을 구지봉이라 함도 관련이 깊다. 주몽의 고구려 건국 과정이나 바리공주 이야기에서도 거북이 등장한다. 갑골점이라 하여 거북뼈로 점을 친다. 갑(甲)은 거북을 뜻하는 글자다. 토템 신앙 중개자로서 거북을 신성시한 것이다. 이규보의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이나 별주부전의 거북은 모두 그 영험을 의인화해 드러내는 얘기다.

옛말로 거북은 ‘거붑’이었다. 끝 음절 ‘붑’에서 같은 비읍 소리 충돌 현상으로 거붑이 거북으로 바뀐 것이다. 한자말 귀복(龜卜)에서 거복-거북이 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거북 토템은 한자가 들어오기 이전에 있었다. 양산 지방의 모심기 민요 가운데 왕거미 노래에서 거미가 거북이었음을 떠올릴 수 있다. 우리말 거미(거무)-검에서 그 원형을 찾음이 더 온당하다. 여기 검(감)은 임금으로 이어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가미(神)가 되고 거북을 가메(game)라 함을 보면, 한자 기원이란 설득력이 떨어진다. 최남선의 <신자전>에서 ‘검’을 신으로 풀이하고 있음 또한 한 방증이다. 동아리하자면, 거미(거무)의 검에 -음이 붙어 거뭄-거붑-거북이 된 것이다. <본초강목>에서는 거북의 수컷을 뱀으로 상정한다.

거북은 때로 남근 혹은 태양 숭배를 드러내기도 하는 상징성이 많은 짐승이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447
2974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538
2973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75
2972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8031
2971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225
2970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323
2969 기가 막히다 바람의종 2007.12.29 19763
2968 깨가 쏟아지다 바람의종 2007.12.29 10480
2967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402
2966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7.12.29 7244
2965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07.12.30 9691
2964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28
2963 꽈리 바람의종 2007.12.30 10754
2962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6902
2961 덤터기 쓰다 바람의종 2007.12.31 7088
2960 동티가 나다 바람의종 2007.12.31 14148
2959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314
2958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793
2957 들통나다 바람의종 2008.01.02 12529
2956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36
2955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357
2954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580
2953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9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