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1:58

숫구미

조회 수 779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숫구미

사람이름

조선 때 죄인에게 죗값으로 군역을 치르도록 하는 것을 ‘충군’(充軍)이라 했다. 세조 2년(1456년) 임금이 사헌부에 죄인들을 크게 풀어주라 했다. 그 가운데 검모포 충군으로 간 숫구미(守叱仇未)와 어리동이가 있다.

‘숫구미’는 문헌에서 ‘쉿구무/숫구무’로 나타나며, 요즘말로 숨구멍(간난아이 정수리께)에 해당한다. ‘궁기·개궁기’라는 이름에서 보듯 ‘궁기’가 이름의 밑말로 쓰였다. 중세말에서 구멍은 ‘ /구무’였다. 이는 ‘ ’에 호칭접미사 ‘이’가 더한 말이다. 개궁기는 개구멍일 터인데 담이나 울타리 밑에 터놓은 작은 구멍이다. 밑을 터 뒤를 보기 좋게 만든 어린아이 바지를 개구멍바지라고 부른다. 더불어 ‘구멍·똥구멍’이란 이름도 보인다.

고장말에는 구멍·구미·궁기뿐만 아니라 ‘구먹·구녁·구녕’도 있다. 요즘말을 옛말과 견줘보면 소리마디가 줄어든 것이 있다. 동냥치·양아치는 동냥아치에서 비롯됐고, ‘둥구미·골(腦)·대머리·예쁘다 …’들은 중세에 낱낱 ‘멱둥구미·대골·고대머리·어엿브다’로 쓰였다. 둥구미는 짚으로 둥글고 깊게 엮은 것인데, 고장 따라 퉁구먹이라고도 한다. 조선때 ‘어여분이/어엿분이’는 요즘 ‘예쁜이/이쁜이’로 변했다.

숨구멍은 나뭇잎이나 풀벌레의 숨쉬는 곳을 이르기도 하며, 답답한 상황에서 조금 벗어났을 때 숨구멍 트였다고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62
2028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71
2027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370
2026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62
2025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134
2024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35
2023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59
2022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12
2021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492
2020 꺽다 바람의종 2009.02.20 8683
2019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2018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7
2017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573
2016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63
2015 대미관, 대북관 바람의종 2009.02.21 6653
2014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391
2013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697
2012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777
2011 장마비, 장맛비 / 해님, 햇님 바람의종 2009.02.22 13170
2010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48
2009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45
2008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71
2007 덧글, 답글, 댓글 1 바람의종 2009.03.01 74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