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1:58

숫구미

조회 수 782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숫구미

사람이름

조선 때 죄인에게 죗값으로 군역을 치르도록 하는 것을 ‘충군’(充軍)이라 했다. 세조 2년(1456년) 임금이 사헌부에 죄인들을 크게 풀어주라 했다. 그 가운데 검모포 충군으로 간 숫구미(守叱仇未)와 어리동이가 있다.

‘숫구미’는 문헌에서 ‘쉿구무/숫구무’로 나타나며, 요즘말로 숨구멍(간난아이 정수리께)에 해당한다. ‘궁기·개궁기’라는 이름에서 보듯 ‘궁기’가 이름의 밑말로 쓰였다. 중세말에서 구멍은 ‘ /구무’였다. 이는 ‘ ’에 호칭접미사 ‘이’가 더한 말이다. 개궁기는 개구멍일 터인데 담이나 울타리 밑에 터놓은 작은 구멍이다. 밑을 터 뒤를 보기 좋게 만든 어린아이 바지를 개구멍바지라고 부른다. 더불어 ‘구멍·똥구멍’이란 이름도 보인다.

고장말에는 구멍·구미·궁기뿐만 아니라 ‘구먹·구녁·구녕’도 있다. 요즘말을 옛말과 견줘보면 소리마디가 줄어든 것이 있다. 동냥치·양아치는 동냥아치에서 비롯됐고, ‘둥구미·골(腦)·대머리·예쁘다 …’들은 중세에 낱낱 ‘멱둥구미·대골·고대머리·어엿브다’로 쓰였다. 둥구미는 짚으로 둥글고 깊게 엮은 것인데, 고장 따라 퉁구먹이라고도 한다. 조선때 ‘어여분이/어엿분이’는 요즘 ‘예쁜이/이쁜이’로 변했다.

숨구멍은 나뭇잎이나 풀벌레의 숨쉬는 곳을 이르기도 하며, 답답한 상황에서 조금 벗어났을 때 숨구멍 트였다고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61
2116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44
2115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47
2114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48
2113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50
2112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52
2111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53
2110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60
2109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2108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66
2107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69
2106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74
2105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876
2104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7
2103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77
2102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883
2101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85
2100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86
209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889
2098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90
209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2096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9
2095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