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2 01:34

사이소예

조회 수 608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이소예

고장말

부산의 아침을 가르는 ‘아지매’들의 카랑카랑한 목소리를 이젠 들을 수 없게 됐지만, “재첩국 사이소예!”에서 나타나는 ‘-예’는 ‘-라우’(전라), ‘-마씀, -양’(제주)과 더불어 표준어 ‘-요’에 대응하는 말이다. 제주에서도 ‘-예’가 쓰이기는 하지만, ‘-예’는 경상도 지역의 전형적인 말투로 인식돼 왔다. 주로 말끝에 쓰여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울 오메 여기 왔지예?” “죽었어예? 울 아버지가 벌써 총살을 당했다 이 말이지예?”(<어둠의 혼>·김원일)

‘-예’는 “돈예? 점점 더 희한한 소리 다 듣겠네예.”(<아우와의 만남>·이문열)의 ‘돈예’에서처럼 명사나 대명사에 결합하여 표준어의 ‘이거요, 돈요’와 같이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라우’와는 다르다.

‘-예’는 주로 아이들이나 여성들이 쓰는 말이다. 어렸을 때는 남녀 없이 쓰는 말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경상도 남정네들은 슬그머니 ‘-예’를 말끝에서 떼 버린다. 어렸을 때 “아제예, 어서 가이소예!”처럼 말하던 것에서 ‘-예’를 떼어 버리고 “아제, 어서 가이소”처럼 말하게 되는 것이다. 성인 남성들도 허물없는 사이에는 쓰기도 하지만 그 사용빈도가 성인 여성들보다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더구나 남성들은 외지인 앞에서 ‘-예’를 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예’와 함께 경상도 아가씨를 떠올리는 것도 ‘-예’가 주로 여성들의 말투에서 나타나기 때문일 것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4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26
2974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92
2973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74
2972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77
2971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966
2970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7
2969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226
2968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739
296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625
2966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36
296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403
2964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55
2963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9
2962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89
2961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548
2960 곤죽 風磬 2006.09.29 12419
2959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94
2958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43
2957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687
2956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98
2955 바람의종 2008.07.28 6340
2954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16
2953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