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2 01:34

사이소예

조회 수 609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이소예

고장말

부산의 아침을 가르는 ‘아지매’들의 카랑카랑한 목소리를 이젠 들을 수 없게 됐지만, “재첩국 사이소예!”에서 나타나는 ‘-예’는 ‘-라우’(전라), ‘-마씀, -양’(제주)과 더불어 표준어 ‘-요’에 대응하는 말이다. 제주에서도 ‘-예’가 쓰이기는 하지만, ‘-예’는 경상도 지역의 전형적인 말투로 인식돼 왔다. 주로 말끝에 쓰여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울 오메 여기 왔지예?” “죽었어예? 울 아버지가 벌써 총살을 당했다 이 말이지예?”(<어둠의 혼>·김원일)

‘-예’는 “돈예? 점점 더 희한한 소리 다 듣겠네예.”(<아우와의 만남>·이문열)의 ‘돈예’에서처럼 명사나 대명사에 결합하여 표준어의 ‘이거요, 돈요’와 같이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라우’와는 다르다.

‘-예’는 주로 아이들이나 여성들이 쓰는 말이다. 어렸을 때는 남녀 없이 쓰는 말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경상도 남정네들은 슬그머니 ‘-예’를 말끝에서 떼 버린다. 어렸을 때 “아제예, 어서 가이소예!”처럼 말하던 것에서 ‘-예’를 떼어 버리고 “아제, 어서 가이소”처럼 말하게 되는 것이다. 성인 남성들도 허물없는 사이에는 쓰기도 하지만 그 사용빈도가 성인 여성들보다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더구나 남성들은 외지인 앞에서 ‘-예’를 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예’와 함께 경상도 아가씨를 떠올리는 것도 ‘-예’가 주로 여성들의 말투에서 나타나기 때문일 것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4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1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49
2864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7
2863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088
»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94
2861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96
2860 바람의종 2008.11.22 6110
2859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112
2858 대증요법 바람의종 2007.11.03 6119
2857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22
2856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28
2855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28
2854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132
2853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34
2852 벽창호 風磬 2006.11.30 6134
2851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6 6135
2850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43
2849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44
2848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54
2847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5
2846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64
2845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64
2844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66
2843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