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2 01:33

일러두기

조회 수 641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러두기

언어예절

물건이 넘치는 시대다. 이를 만들고 사고팔고 쓰게 하자면 말이 필요하다. 그 말을 엮은 게 ‘일러두기’다. 본디 내용이 복잡한 사전에서 책머리에 두어 그 읽는 법을 갖춘 글을 일컫는 말이다.

기계·기구를 켜고 끄고 다루는 원리와 방법, 컴퓨터 차림·소프트웨어 작동법, 음식·약물 조리법이나 먹는법 등을 베푼 글들을 ‘기술글’이라고 하는데, 성격상 ‘일러두기’와 맞아든다. 지침서·설명서·편람·안내문·매뉴얼 따위가 이에 든다.

산업과 무역 발달이 일렀던 서양에서는 이런 유형의 글쓰기 고민도 일렀다. 예컨대 비행기나 자동차를 만들어 팔아먹자면 물건도 좋아야 할 뿐더러 내외국인을 상대로 그 사용법을 알려야 했던 까닭이다.

물건을 만들 때나 사용법을 설명하는 데서 공통으로 갖출 것이 있다면 역시 ‘편하고 쉽게’가 될 터이다.

물건을 제대로 부려 쓰게 하자면 설명이 정확하고 쉬워야 하며, 오작동·오용 위험을 막자면 주의·지시·요구·경고하는 말을 쓰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쉽고 적절한 용어를 가려 쓰면서 겸손하면서도 정중한 말투를 갖춰야 한다.

대우법이 발달한 말을 쓰는 나라에서는 적절한 높임말로 서술해야 하고, 명사와 동사는 일차적인 의미로 한정해 쓸 필요가 있다. 관형어나 부사어는 아껴 쓰되 제자리에 두고, 문장은 단문 위주로 쓸 것을 주문한다. 잘 다듬은 일러두기는 딴나라 말로 뒤치기도 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01
1126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15
1125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85
1124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22
1123 코끼리 바람의종 2008.09.07 7588
1122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705
1121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48
1120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72
1119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66
1118 바람의종 2008.09.06 5440
1117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588
1116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91
1115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214
1114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14
1113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776
1112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573
1111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71
1110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42
1109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23
1108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29
1107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588
1106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76
»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