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3

갈두·갈헌

조회 수 802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갈두·갈헌

사람이름

세조 2년(1456년), 단종 복위 운동과 관련하여 앞 못 보는 점바치 나갈두(羅加乙豆)를 국문하였다. 부엉이가 대궐 북쪽에서 우는데 무슨 까닭이냐 봉보부인이 사람을 시켜 물었는데, 상왕(단종)이 오래지 않아 임금 자리로 돌아올 징조라고 대답했다고 하였다.

‘갈두’는 땅이름에도 보인다. 외국 사신들이 천하명승으로 꼽던 서울 서강의 加乙頭(가을두)는 ‘갈두’ 아닌 ‘덜머리’(乫頭里)이며 절두산 성지로 더 알려졌다. 꼭두각시놀음과 봉산탈춤에서 박첨지와 영감의 시앗이 덜머리집이다. 결혼한 여인은 친정 고장 이름을 따 춘천댁·금산댁·공류골네 따위로 불린다. ‘덜머리댁’을 예전엔 덜머리집으로 부른 듯하다. 전남 해남의 葛頭(갈두)는 ‘땅끝마을’로 더 알려졌는데, 현지인에게 물어보니 ‘칡머리’라고도 부른단다.

‘갈헌’이라는 사람에 성종 때의 임갈헌과 숙종 때의 이갈헌, 궁녀 갈헌 등이 있다. <고종실록>을 보면 청나라가 초소를 철수하여 봉화를 올릴 일이 없게 되자 평안도 강가 초소를 거두는데, 그 가운데 짓골과 갈헌골이 있다. 아울러 함경도 정평에 갈헌천이 있다.

사람이름 갈두와 갈헌은 야인이름에도 갈두/갈투, 갈헌/갈한으로 나타난다. 야인 지역에서 한반도에 이르기까지 쓰인 갈두와 갈헌이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갈두(碣斗)로 적는 한자말은 ‘이치에 어긋남에도 자기 주장을 끝까지 관철시키려고 무리지어 다투는 것’을 이르는 불교 말이라고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31
466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13
465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66
464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14
463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073
462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12
461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11
460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63
»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23
458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16
457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63
456 바람의종 2008.08.21 7288
455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09
454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59
453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79
452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30
451 바람의종 2008.08.08 5793
450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788
449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31
448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64
447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59
446 바람의종 2008.08.03 6691
445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