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0

보게‘마씀’

조회 수 715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게‘마씀’

고장말

“혼디 모앙 살아 보게마씀.”(한데 모여 살아 보게요) ‘-마씀’은 제주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말맛을 표준어로 바꿔 살리기는 어렵지만, 굳이 대어 보자면 들을이를 두루 높이는 데 쓰는 ‘-요’에 가장 가깝다. ‘-마씀’은 제주에 간들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아니다. 말할이와 들을이가 절친한 관계가 아니면 잘 쓰지 않기 때문이다. “고 선생은 무슨 큰일을 헌다고 야단인고마씀.”(<불과 재> 현길언) “어들 감수광?”(어디 가십니까?) “나마씀?”(나요?)

‘-마씀’은 ‘마슴·마시·마씨·마씸’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아니, 그게 무슨 말씀이우꽈? 순이 삼춘이 돌아가셔서마씸?” “이장님마씸, 우리 사촌동상이 금녕지서에 순경으로 있우다. 김갑재라고마씸.”(<순이 삼촌> 현기영)

‘-마씀’과 바꿔 쓸 수 있는 제주말은 ‘-양’이나 ‘-예’다. ‘-예’는 제주말보다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투로 더 알려진 고장말이다. “삼춘, 어들 감수광?” “서울에 감수다양.” “자윈 혼저 감저양.”(저 아이는 혼자 가네요.)

다만 ‘-마씀’은 표준어 ‘-습니다’의 제주말 ‘-수다, 우다’와 함께 쓸 수 없지만, ‘-양’은 그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제주 사람들은 “난 서울에 감수다마씀.” “버리밧(보리밭)이 사뭇 해영허게(하얗게) 눈이 덮였는디 말이우다마씀”과 같이 말하지 않는다.

‘-마씀’은 전라도말 ‘-라우’나 충청도 말 ‘-유’와 같이 제주말의 한 전형을 드러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71
466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58
465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92
464 숫구미 바람의종 2008.09.03 7850
463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107
462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20
461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25
460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98
459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165
»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55
457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92
456 바람의종 2008.08.21 7327
455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92
454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86
453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300
452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72
451 바람의종 2008.08.08 5840
450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14
449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66
448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708
447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70
446 바람의종 2008.08.03 6730
445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