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0

보게‘마씀’

조회 수 706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게‘마씀’

고장말

“혼디 모앙 살아 보게마씀.”(한데 모여 살아 보게요) ‘-마씀’은 제주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말맛을 표준어로 바꿔 살리기는 어렵지만, 굳이 대어 보자면 들을이를 두루 높이는 데 쓰는 ‘-요’에 가장 가깝다. ‘-마씀’은 제주에 간들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아니다. 말할이와 들을이가 절친한 관계가 아니면 잘 쓰지 않기 때문이다. “고 선생은 무슨 큰일을 헌다고 야단인고마씀.”(<불과 재> 현길언) “어들 감수광?”(어디 가십니까?) “나마씀?”(나요?)

‘-마씀’은 ‘마슴·마시·마씨·마씸’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아니, 그게 무슨 말씀이우꽈? 순이 삼춘이 돌아가셔서마씸?” “이장님마씸, 우리 사촌동상이 금녕지서에 순경으로 있우다. 김갑재라고마씸.”(<순이 삼촌> 현기영)

‘-마씀’과 바꿔 쓸 수 있는 제주말은 ‘-양’이나 ‘-예’다. ‘-예’는 제주말보다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투로 더 알려진 고장말이다. “삼춘, 어들 감수광?” “서울에 감수다양.” “자윈 혼저 감저양.”(저 아이는 혼자 가네요.)

다만 ‘-마씀’은 표준어 ‘-습니다’의 제주말 ‘-수다, 우다’와 함께 쓸 수 없지만, ‘-양’은 그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제주 사람들은 “난 서울에 감수다마씀.” “버리밧(보리밭)이 사뭇 해영허게(하얗게) 눈이 덮였는디 말이우다마씀”과 같이 말하지 않는다.

‘-마씀’은 전라도말 ‘-라우’나 충청도 말 ‘-유’와 같이 제주말의 한 전형을 드러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2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48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694
1606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451
1605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0936
1604 복약 설명서 바람의종 2011.11.14 10974
1603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688
1602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6965
1601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7904
1600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197
1599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618
1598 복구 / 복원 바람의종 2012.07.02 7498
1597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103
1596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042
1595 보전과 보존 바람의종 2010.11.25 17267
1594 보이콧 바람의종 2008.02.13 6154
1593 보유고, 판매고, 수출고 바람의종 2010.10.14 8781
1592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11
1591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16
1590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6965
1589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516
1588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29
1587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314
1586 보도시 한 절(술) 뜨고 file 바람의종 2010.01.06 5450
»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0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