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0

보게‘마씀’

조회 수 712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게‘마씀’

고장말

“혼디 모앙 살아 보게마씀.”(한데 모여 살아 보게요) ‘-마씀’은 제주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말맛을 표준어로 바꿔 살리기는 어렵지만, 굳이 대어 보자면 들을이를 두루 높이는 데 쓰는 ‘-요’에 가장 가깝다. ‘-마씀’은 제주에 간들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아니다. 말할이와 들을이가 절친한 관계가 아니면 잘 쓰지 않기 때문이다. “고 선생은 무슨 큰일을 헌다고 야단인고마씀.”(<불과 재> 현길언) “어들 감수광?”(어디 가십니까?) “나마씀?”(나요?)

‘-마씀’은 ‘마슴·마시·마씨·마씸’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아니, 그게 무슨 말씀이우꽈? 순이 삼춘이 돌아가셔서마씸?” “이장님마씸, 우리 사촌동상이 금녕지서에 순경으로 있우다. 김갑재라고마씸.”(<순이 삼촌> 현기영)

‘-마씀’과 바꿔 쓸 수 있는 제주말은 ‘-양’이나 ‘-예’다. ‘-예’는 제주말보다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투로 더 알려진 고장말이다. “삼춘, 어들 감수광?” “서울에 감수다양.” “자윈 혼저 감저양.”(저 아이는 혼자 가네요.)

다만 ‘-마씀’은 표준어 ‘-습니다’의 제주말 ‘-수다, 우다’와 함께 쓸 수 없지만, ‘-양’은 그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제주 사람들은 “난 서울에 감수다마씀.” “버리밧(보리밭)이 사뭇 해영허게(하얗게) 눈이 덮였는디 말이우다마씀”과 같이 말하지 않는다.

‘-마씀’은 전라도말 ‘-라우’나 충청도 말 ‘-유’와 같이 제주말의 한 전형을 드러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46
1874 생물·화학무기 바람의종 2008.04.05 10495
1873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608
1872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97
1871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9997
1870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314
1869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28
1868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38
1867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50
1866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671
1865 샌님 風磬 2006.12.29 10662
1864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1898
1863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394
1862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84
1861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710
1860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41
18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81
1858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51
1857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18
1856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89
1855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275
1854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07
1853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