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0

보게‘마씀’

조회 수 714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게‘마씀’

고장말

“혼디 모앙 살아 보게마씀.”(한데 모여 살아 보게요) ‘-마씀’은 제주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말맛을 표준어로 바꿔 살리기는 어렵지만, 굳이 대어 보자면 들을이를 두루 높이는 데 쓰는 ‘-요’에 가장 가깝다. ‘-마씀’은 제주에 간들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아니다. 말할이와 들을이가 절친한 관계가 아니면 잘 쓰지 않기 때문이다. “고 선생은 무슨 큰일을 헌다고 야단인고마씀.”(<불과 재> 현길언) “어들 감수광?”(어디 가십니까?) “나마씀?”(나요?)

‘-마씀’은 ‘마슴·마시·마씨·마씸’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아니, 그게 무슨 말씀이우꽈? 순이 삼춘이 돌아가셔서마씸?” “이장님마씸, 우리 사촌동상이 금녕지서에 순경으로 있우다. 김갑재라고마씸.”(<순이 삼촌> 현기영)

‘-마씀’과 바꿔 쓸 수 있는 제주말은 ‘-양’이나 ‘-예’다. ‘-예’는 제주말보다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투로 더 알려진 고장말이다. “삼춘, 어들 감수광?” “서울에 감수다양.” “자윈 혼저 감저양.”(저 아이는 혼자 가네요.)

다만 ‘-마씀’은 표준어 ‘-습니다’의 제주말 ‘-수다, 우다’와 함께 쓸 수 없지만, ‘-양’은 그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제주 사람들은 “난 서울에 감수다마씀.” “버리밧(보리밭)이 사뭇 해영허게(하얗게) 눈이 덮였는디 말이우다마씀”과 같이 말하지 않는다.

‘-마씀’은 전라도말 ‘-라우’나 충청도 말 ‘-유’와 같이 제주말의 한 전형을 드러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95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087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036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144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222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729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246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022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547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362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028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137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632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639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304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328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707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939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485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290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448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708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