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1 13:29

조회 수 7301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해동에 여섯 용이 나타나시니 모든 일에 하늘의 뜻 아님이 없도다.(용비어천가) 여기서 용은 조선 건국과 관련한 세종 임금의 선대들을 이른다. 용포·용루·용안·용상 …들이 모두 임금과 관련한 말들이다.

용의 옛말은 ‘미르’(훈몽자회)다. ‘미르’는 물(水)이니 ‘밀-물’로 이어지는 낱말 겨레라 할 수 있다. 용은 물과 불을 다스리는 상징이었다. 농경 시기에 물이란 신격일 만큼 소중한 것이었다. 한자음으로 용은 영(靈)과 상통하는 바 있다.

땅이름에도 ‘용 계열’이 숱하다. 용산(미르기메)·용천(미리내)·용소(미르기물)에다 용강·용전·용지·용성·용담·용두 …들이 곳곳에 있다.

단군신화의 풍백·우사·운사도 용의 의인화 과정 아닐까? 고주몽도 마찬가지. 해모수와 오룡거에서 용이 끄는 수레가 바로 용과의 관련을 드러낸다. 석탈해 임금도 용성국(龍城國) 사람이다. 백제 무왕이 연못의 용과 어머니 사이에서 났다.(서동요) 용건(龍建)의 아들 고려 태조 왕건, 용의 후손이란 창녕 조씨 시조 조계룡 …두루 같은 범주들이다. 용은 주로 임금과 같은 권위의 화신으로 받들린다.

이서의 마경초집(馬經抄集)에 동계(東溪) 선생이 곡천(曲川) 선생에게 말의 계보를 물어본다. 용에서 토끼로, 토끼는 기린으로, 기린은 말로 계보를 이어간다. 말도 천마사상과 같이 하늘과 통하는 신령성을 부여함을 보면 두루 짐승을 인간의 조상으로 믿는 토템의 한 얼 안에 넣어야 할 것이다. 용 날아 빛나는 거기 온갖 사랑 강물처럼.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47
1082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1081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84
1080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83
1079 설거지나 하세요. (게와 께) 바람의종 2008.04.20 7383
1078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80
1077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80
1076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78
1075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377
1074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376
1073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76
1072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76
1071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74
1070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67
1069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67
1068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67
1067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60
1066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56
1065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55
1064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55
1063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54
1062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52
1061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