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11 05:07

오시소마!

조회 수 729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시소마!

고장말

“어서 오시소마!” 자갈치시장 ‘아지매’의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들릴라치면, 으레 시장 한쪽에서는 흥정이 시작된다. “보이소. 아지매여, 생선 드려 가이소마! 이 눈깔 좀 보소 아직도 살아 있지예? 집에 가져다예, 회 처서 초고추장 발라 묵으면 그 맛이 일등이라예. 아지매여, 퍼뜩 사가이소마.”(<백일홍>·이영숙)

‘-마’는 주로 경상도 사람들이 말끝에 붙여 쓰는 전형적인 말이다. 생선을 사 주었으면 하는 시장 아주머니의 간절한 마음을 ‘-마’가 적절히 담아내고 있다. ‘-마’는 말할이의 간절한 마음을 싣기도 하지만, 야속한 마음을 드러내기도 한다.

“할매 지금 머라 했능교? 큰일 날 말씀 하지 마이소마. 지금이 어는 땐데 그런 말씀 하능교?”(<하얀 기억 속의 너>·김상옥)

이처럼 ‘-마’는 애절하거나 야속한 심정을 드러내어 상대의 행동을 가볍게 만류하거나 재촉할 때 쓰는 말이다.

“나는 와 엄마가 없소.” “죽었제. 니를 낳아놓고 병이 나서 죽었구마.”(<토지>·박경리) “아이고메 시상에나. 고런 징헌 놈이 어디가 또 있을꼬. 사람을 옴지락 딸싹 못허게 몰아쳐서 잡아묵었구마. 어쩔다, 어쩐댜, 이 일얼 어쩐댜.”(<아리랑>·조정래) ‘죽었구마’와 ‘묵었구마’의 ‘마’는 고장말 ‘-마’와는 다르다. ‘죽었구마’나 ‘묵었구마’에 나타나는 ‘마’는 ‘-구먼’의 고장말 ‘-구마’의 ‘마’다.

전라도 쪽 ‘-잉’과 마찬가지로 ‘-마’는 전형적인 경상도 말투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85
1104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15
1103 좋은 하루 되세요 바람의종 2008.08.28 6498
1102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13
1101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67
1100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70
1099 과반수 이상 바람의종 2008.08.27 6238
1098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55
1097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39
1096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21
1095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65
1094 바람의종 2008.08.21 7310
1093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00
1092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48
1091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68
1090 푸르른 바람의종 2008.08.11 6282
»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93
1088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38
1087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83
1086 바람의종 2008.08.08 5809
1085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05
1084 바캉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8.08.04 7213
1083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