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08 06:03

조회 수 582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말 타면 경마 잡히고 싶다. 사람 욕심이란 끝 간 데를 모르니 삼가야 함을 이른다. 두어 해 전에 몽골 울란바토르에 갈 때 몽골 비행기에 말대가리가 그려져 있어 인상적이었는데, 들판에도 공연장에도 테릴지 국립공원에서도 예외 없이 말이다. 말은 동력의 원천이자 탱크였다.

말을 몽골말에서 모린(morin)이라고 한다. 제주 고장말로는 지금도 ‘모리’라 하는 이가 있음을 보면 몽골과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다.

우리말에서 ‘말’로 소리가 나는 말 세 가지가 있다. 사람이 타고 다니는 말(馬),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고 할 적의 말(斗), 입으로 생각과 느낌을 전하는 말(言)이 그렇다. 소리가 같고 뜻은 달라도 옮김과 전달이라는 점에서는 다를 바 없다.

지난 일과 관련지어 보면, 신라시조 혁거세와 날아오르는 흰말, 고구려 주몽과 비루먹은 말, 동부여 부루와 금개구리(금와) 모양의 어린아이, 경주 황남동 고분의 천마도 …들이 드러난 대표적인 말 관련 신화소들이다. 여기 천마는 땅에서 하늘로 날아오르는 하늘과 땅의 만남으로 거룩한 말의 속내를 드러낸다.

달리 윷놀이에서 도·개·걸·윷·모라 할 때 걸(geol)이 지명 대응성 등으로 보아 말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거룩하다’의 ‘거룩’이 말을 뜻하는 ‘걸’에서 갈라져 나온 형태임을 짐작할 수 있다. 삼한 마한(馬韓)의 ‘마’도 말의 신성함과 으뜸감을 이른다. 따라서 말이 접두사가 되어서 ‘크다-거룩하다’로 쓰임을 알 수가 있다. 초인의 말울음 소리에 솜다리는 꽃피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120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44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44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69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11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721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12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77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89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57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63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5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201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75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9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653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504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26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8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65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83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9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2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