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04 22:57

삭부리

조회 수 7347 추천 수 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삭부리

사람이름

숙종 7년(1681년), 기병(騎兵)의 보인(保人)인 허협이 한글로 쓴 글을 가지고 승정원에 와 역모가 있다고 발고했다. 평안병사를 지냈던 이간이 이남과 함께 반역을 꾀할 때 감사 유하익과 순변사 정유악이 끼었는데, 문서가 그때 일을 알고 있던 양국정에게서 나온 것이라 하였다. 양국정을 문초하니 이간이 이남에게 편지를 보낼 때 이를 은밀히 숨겼으나 이간에게 신임을 받은 삭부리(朔夫里)가 몰래 본 것이었다고 했다.

사내이름으로 자주 보이는 ‘삭부리’는 어디서 나온 말일까? 조선 후기로 오면서 성 상징이 이름으로 쓰인 것이 자주 보인다. 그 가운데 개부리/개불이·괴불이·말불이·쇠불이/쇼부리 …들이 있는데 낱낱 개·괴/고이(고양이)·말·소 따위와 잇닿아 있다. 이로 보면 삭부리는 삵과 잇닿은 듯도 하다.

영조 6년(1730년), 궁방의 화약을 훔치려 한 禾古伊·周老味·介助之(화고이·주노미·개조지) 등을 국문하였다. 禾古伊는 실록에 禾塊(화괴)로도 적으며, <승정원일기>에는 雄猫(웅묘)와 禾介(화개)로도 나온다. 禾古伊는 ‘수고이’(수고양이)이다. 이익 선생댁 호구단자에서는 ‘수리놈이’를 愁里男(수리남)으로 적다가 나중에 禾里男(화리남)으로도 적었다. 禾(화)는 ‘벼 화, 쉬 화’인데, 자주 ‘수’를 적을 때 쓰인다.

‘불알·불거웃’ 들에서 보듯이 예부터 성 상징은 ‘불’이라 한 듯하다. 사내이름에 감불이·돌부리·살부리·외불이·억불이·육부리도 있고, ‘곰부리’라는 계집이름도 보인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52
1808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489
1807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02
1806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253
1805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92
1804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256
1803 부럼 風磬 2006.12.20 7211
1802 부름말과 지칭 바람의종 2008.03.12 10818
1801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23
180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19
1799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50
1798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791
1797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19
1796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61
1795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36
1794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7
1793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73
1792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72
179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8
1790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00
1789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03
1788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13
1787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6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