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04 22:51

아니어라우!

조회 수 664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니어라우!

고장말

“아니요. 쪼깨 아플라고 혀서 칙간에 갔어라우.”

소설가 조정래의 <태백산맥>에서 들몰댁 큰아들이 변소에서 나오며 내뱉는 말이다. ‘-라우’는 전라도 사람들이 듣는 사람에게 존대 뜻을 나타낼 때 말 끝에 붙여 쓰는 고장말이다. 표준어에서 존대 보조사 ‘-요’와 쓰임이 비슷하다.

“선상니임, 선상니임, 손님 오셨어라우.”, “애기씨는 암만해도 내일은 못 가실 것맹이여라우.”

그러나 “남말허고 앉았네.” “언저역(엊저녁) 본께 못쓰겄데”와 같이 ‘-네’와 ‘-데’로 끝나는 말 끝에는 붙여 쓰지 못한다는 점에서 표준말 쪽 ‘-요’와 좀 다르다.

‘-라우’는 ‘-(이)라 허우(-이라 하오)’와 같은 말에서 ‘-허’가 떨어져 나간 ‘-(이)라우’가 굳어져서 생겨난 말인 것으로 보인다.

“머 땀시 넘 제사에 배 놔라, 감 놔라 허우?” “고런 맘 묵을 사람이 아니란 것을 믿기 땀세 두 번씩이나 알은 체럴 했는디 몰라라 허우.”

나이가 지긋한 어른이 처음 보는 젊은 사람에게 반말을 쓰기도 그렇고 존댓말을 쓰기도 뭣할 때나, 나이 차이는 있지만 아주 절친한 사람들 끼리는 ‘-라우’ 대신에 ‘-라’를 쓰기도 한다. 이때 ‘-라’는 반말도 존댓말도 아니다. “아이고메, 이러나저러나 논 뺏기기는 매일반인디, 고런 것 알아 워디 쓰게라.”, “정 사장네 굿을 헐랑갑제라?”

“-잉”(워메, 들몰댁! 살아왔소잉)과 마찬가지로 ‘-라우’는 그 말을 쓰는 순간 전라도 사람임을 드러내고 마는 표지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76
2138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55
2137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06
2136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13
2135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39
»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40
2133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82
2132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4886
2131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681
2130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582
2129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12
2128 아나고 바람의종 2008.02.16 7741
2127 아귀다툼 바람의종 2007.05.16 12553
2126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28
2125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7996
2124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09
2123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43
2122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799
2121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693
2120 쓸개 빠진 놈 바람의종 2008.02.25 11744
2119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52
2118 쓰봉 風文 2023.11.16 1099
2117 쓰레기 분리 수거 바람의종 2008.09.02 78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