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03 03:02

조회 수 670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범(호랑이) 모르는 길을 생쥐가 안다. 저마다 남모르는 능력과 정보가 있다는 얘기다. 단군신화에는 곰과 함께 범이 등장한다. 범과 곰은 두루 환웅에게 사람이 되기를 빌었는데, 곰은 됐으나 범은 못 됐다. 토템이란 관점에서 보면, 상징으로 곰을 내세우는 겨레가 범을 내세우는 겨레를 이겨낸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범은 만주어 비럼(bir m)에서 비롯한 것으로 본다. 참고로 몽골어로는 발스(bals)라 한다. 오늘날의 범은 [벋]에서 [벌]로, 다시 벌엄-버럼-버엄-범으로 바뀌어 굳어졌다.(서정범) 옛말에 호랑이는 달리 갈월(훈몽자회)이라고도 이른다. 갈월은 갈범에서 비롯된다. 일본말로 호랑이는 도라(dora)다. 그 원형은 돋>돌로 바뀌었으며, 같은 소리의 틀로 재구성할 수 있으니, 그 형태는 닫(dat)이었다. 향약구급방에서는 호랑이를 둘흡(地頭乙戶邑)이라 적고 있다. 기원적으로 보아 닫과 ㅼㅏ-다(C)로 그 대응성을 상정할 수 있다.

견훤이 어렸을 때 어머니가 밭일을 하는 사이에 범이 내려와 견훤에게 젖을 먹여 길렀다고 한다. 높고 깊은 산골짜기에 세운 산신각에는 호랑이가 산신을 태운 그림들이 걸려 있다. 이는 범이 사는 산의 신을 숭배함에 그 뿌리를 둔다. <후한서> 동이전에, 범한테 제사를 지내고 그것을 신으로 섬긴다고 하였다. 특히 흰호랑이를 영험한 신으로 모시며, 서쪽을 상징한다. 12지신의 하나이기도 하다. 신과 자연과 생명을 경건히 여기는 문화 복원이 시급하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35
1104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15
1103 좋은 하루 되세요 바람의종 2008.08.28 6497
1102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13
1101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67
1100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670
1099 과반수 이상 바람의종 2008.08.27 6238
1098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50
1097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132
1096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21
1095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365
1094 바람의종 2008.08.21 7301
1093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00
1092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739
1091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65
1090 푸르른 바람의종 2008.08.11 6281
1089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89
1088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38
1087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75
1086 바람의종 2008.08.08 5803
1085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05
1084 바캉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8.08.04 7213
1083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