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31 18:44

부처꽃

조회 수 593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처꽃

풀꽃이름
 




불교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공인된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때(372년)로, 들어온 것은 벌써 1600∼1700년이 되었다. 풀꽃이름에도 ‘불두화/ 부처손/ 동자꽃’ 등 불교 영향이 많이 스며 있다. 서양 풀꽃이름 중 기독교를 바탕으로 한 것들에 견줘본다면, 문화바탕이 확연히 다름을 엿볼 수 있다. 염주나무는 영어로 ‘욥의 눈물’(Job’s tear), 삼색맨드라미는 ‘요셉의 코트’(Joseph’s coat)로, 성경을 알아야만 하는 이름들이 꽤 된다.

‘부처꽃’은 냇가나 연못 등 습지에 자라는데, 길고 화사한 자주보랏빛 꽃을 승려들이 백중날(음력 7월15일) 재를 올리면서 부처님께 바쳤다고 해서 붙었다는 견해가 있다. 전국 어디에나 있고, 연꽃과 함께 절 근처에 많이 피며, 그때가 가장 절정기니까 그럴듯한 설명이다. 또한 이 꽃을 부처님 앞에 흔히 바친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천굴채’(千屈菜)라 하며, 방광염을 낫게 하거나, 이뇨제·지사제로 쓴다. 요즘 새로 생기는 생태공원이나 냇가마다 보기에도 좋고 물도 맑게 한다고 많이 심는다. 날씨가 좀더 더워지는 칠팔월에 가까이서 볼 수 있을 듯하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한국의 자원식물Ⅳ>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3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11
1082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703
1081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268
1080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68
1079 바람의종 2008.08.03 6708
1078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142
»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34
1076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54
1075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901
1074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39
1073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35
1072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62
1071 바람의종 2008.07.28 6359
107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23
1069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9
1068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91
1067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99
1066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684
1065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45
1064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66
1063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21
1062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73
1061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6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