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31 18:42

쟈근아기

조회 수 6982 추천 수 10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쟈근아기

사람이름

상산군 황효원은 신씨가 아이를 못 낳는다고 버렸다. 임씨를 맞아 두 아들을 낳자 화목지 못하다며 임씨를 버리고 다시 신씨와 살았다. 신씨가 죽자 호적에 구사(종)인 ‘쟈근조이’를 아내로 올렸다. 상산군의 일을 사헌부에서 여러 차례 아뢰어 풍속을 바로잡도록 명을 내려 달라고 했으나 성종 7년(1476년), 임금은 더 논하지 말고 이씨(쟈근조이)를 상산군의 ‘움아내’(후처)로 삼도록 해 주라 일렀다.

중세 말 ‘쟉다·혁다·다’는 모두 작다는 뜻의 말이었다. 그러나 이름에서는 한결같이 ‘쟉다’에서 비롯된 ‘쟈근’(者斤/小斤)이 이름의 밑말로 쓰였다. 쟈근이·쟈근개·쟈근대·쟈근도티·쟈근만·쟈근모디·쟈근올미·쟈근토리 따위 사내이름과 쟈근이·쟈근가이(히)·쟈근금·쟈근년(녜)·쟈근덕이·쟈근비·쟈근아기·쟈근장이 …들 계집이름이 있다. <정종실록>을 보면 몸종을 ‘쟈근이’(小斤)로 부른다. ‘쟈근’이란 말이 작다는 뜻과 다른 뜻도 있음이 엿보인다.

크다는 말에 ‘한’과 ‘큰’이 있다. 땅이름에서는 ‘한’이 자주 쓰이고 사람이름에서 ‘큰’(大隱/大/大 )이 더 쓰였다. 사내이름에 큰가히·큰난이·큰노미·큰동이·큰쇠·큰아기·큰아희·큰이 따위가, 계집이름에 큰이·큰덕이·큰벌어지·큰비·큰아기 …들이 있다. ‘한’이 든 이름에 한이·한덕이·한덩이·한돌히·한비·한섬이·한쇠 …들이 쓰였는데, ‘한’이 꼭 ‘크다’는 뜻은 아닌 듯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14
2380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44
2379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31
2378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22
2377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87
237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288
237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192
2374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73
2373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00
2372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40
2371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11
2370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45
236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05
2368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51
2367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53
2366 바람의종 2008.07.28 6307
2365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27
2364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499
236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49
2362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877
»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6982
2360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894
2359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7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