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31 18:42

쟈근아기

조회 수 7041 추천 수 10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쟈근아기

사람이름

상산군 황효원은 신씨가 아이를 못 낳는다고 버렸다. 임씨를 맞아 두 아들을 낳자 화목지 못하다며 임씨를 버리고 다시 신씨와 살았다. 신씨가 죽자 호적에 구사(종)인 ‘쟈근조이’를 아내로 올렸다. 상산군의 일을 사헌부에서 여러 차례 아뢰어 풍속을 바로잡도록 명을 내려 달라고 했으나 성종 7년(1476년), 임금은 더 논하지 말고 이씨(쟈근조이)를 상산군의 ‘움아내’(후처)로 삼도록 해 주라 일렀다.

중세 말 ‘쟉다·혁다·다’는 모두 작다는 뜻의 말이었다. 그러나 이름에서는 한결같이 ‘쟉다’에서 비롯된 ‘쟈근’(者斤/小斤)이 이름의 밑말로 쓰였다. 쟈근이·쟈근개·쟈근대·쟈근도티·쟈근만·쟈근모디·쟈근올미·쟈근토리 따위 사내이름과 쟈근이·쟈근가이(히)·쟈근금·쟈근년(녜)·쟈근덕이·쟈근비·쟈근아기·쟈근장이 …들 계집이름이 있다. <정종실록>을 보면 몸종을 ‘쟈근이’(小斤)로 부른다. ‘쟈근’이란 말이 작다는 뜻과 다른 뜻도 있음이 엿보인다.

크다는 말에 ‘한’과 ‘큰’이 있다. 땅이름에서는 ‘한’이 자주 쓰이고 사람이름에서 ‘큰’(大隱/大/大 )이 더 쓰였다. 사내이름에 큰가히·큰난이·큰노미·큰동이·큰쇠·큰아기·큰아희·큰이 따위가, 계집이름에 큰이·큰덕이·큰벌어지·큰비·큰아기 …들이 있다. ‘한’이 든 이름에 한이·한덕이·한덩이·한돌히·한비·한섬이·한쇠 …들이 쓰였는데, ‘한’이 꼭 ‘크다’는 뜻은 아닌 듯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78
2798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4
2797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53
2796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2795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69
2794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19
2793 기면 기고 바람의종 2010.01.28 11647
2792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701
2791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466
2790 기우 바람의종 2007.06.08 10467
2789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1072
2788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07
2787 기지개를 펴다, 피해를 입다 바람의종 2008.12.28 11053
2786 기지촌 바람의종 2007.06.08 6841
2785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18
2784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04
2783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71
2782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9
2781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4
2780 길다란, 기다란, 짧다랗다, 얇다랗다, 넓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0 17593
2779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80
2778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23
2777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9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