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31 18:42

쟈근아기

조회 수 7051 추천 수 10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쟈근아기

사람이름

상산군 황효원은 신씨가 아이를 못 낳는다고 버렸다. 임씨를 맞아 두 아들을 낳자 화목지 못하다며 임씨를 버리고 다시 신씨와 살았다. 신씨가 죽자 호적에 구사(종)인 ‘쟈근조이’를 아내로 올렸다. 상산군의 일을 사헌부에서 여러 차례 아뢰어 풍속을 바로잡도록 명을 내려 달라고 했으나 성종 7년(1476년), 임금은 더 논하지 말고 이씨(쟈근조이)를 상산군의 ‘움아내’(후처)로 삼도록 해 주라 일렀다.

중세 말 ‘쟉다·혁다·다’는 모두 작다는 뜻의 말이었다. 그러나 이름에서는 한결같이 ‘쟉다’에서 비롯된 ‘쟈근’(者斤/小斤)이 이름의 밑말로 쓰였다. 쟈근이·쟈근개·쟈근대·쟈근도티·쟈근만·쟈근모디·쟈근올미·쟈근토리 따위 사내이름과 쟈근이·쟈근가이(히)·쟈근금·쟈근년(녜)·쟈근덕이·쟈근비·쟈근아기·쟈근장이 …들 계집이름이 있다. <정종실록>을 보면 몸종을 ‘쟈근이’(小斤)로 부른다. ‘쟈근’이란 말이 작다는 뜻과 다른 뜻도 있음이 엿보인다.

크다는 말에 ‘한’과 ‘큰’이 있다. 땅이름에서는 ‘한’이 자주 쓰이고 사람이름에서 ‘큰’(大隱/大/大 )이 더 쓰였다. 사내이름에 큰가히·큰난이·큰노미·큰동이·큰쇠·큰아기·큰아희·큰이 따위가, 계집이름에 큰이·큰덕이·큰벌어지·큰비·큰아기 …들이 있다. ‘한’이 든 이름에 한이·한덕이·한덩이·한돌히·한비·한섬이·한쇠 …들이 쓰였는데, ‘한’이 꼭 ‘크다’는 뜻은 아닌 듯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28
2798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8999
2797 노다지 바람의종 2008.02.03 6835
2796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177
2795 라틴말의 후예 바람의종 2008.02.03 7096
2794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639
2793 다크호스 바람의종 2008.02.04 10014
2792 단도리 바람의종 2008.02.04 16107
2791 담배 한 보루 바람의종 2008.02.04 11391
2790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379
2789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736
2788 도꼬리 바람의종 2008.02.05 13824
2787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40
2786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65
2785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742
2784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707
2783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432
2782 뗑깡 바람의종 2008.02.10 6635
2781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82
2780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809
2779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125
2778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990
2777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