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31 18:42

쟈근아기

조회 수 7030 추천 수 10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쟈근아기

사람이름

상산군 황효원은 신씨가 아이를 못 낳는다고 버렸다. 임씨를 맞아 두 아들을 낳자 화목지 못하다며 임씨를 버리고 다시 신씨와 살았다. 신씨가 죽자 호적에 구사(종)인 ‘쟈근조이’를 아내로 올렸다. 상산군의 일을 사헌부에서 여러 차례 아뢰어 풍속을 바로잡도록 명을 내려 달라고 했으나 성종 7년(1476년), 임금은 더 논하지 말고 이씨(쟈근조이)를 상산군의 ‘움아내’(후처)로 삼도록 해 주라 일렀다.

중세 말 ‘쟉다·혁다·다’는 모두 작다는 뜻의 말이었다. 그러나 이름에서는 한결같이 ‘쟉다’에서 비롯된 ‘쟈근’(者斤/小斤)이 이름의 밑말로 쓰였다. 쟈근이·쟈근개·쟈근대·쟈근도티·쟈근만·쟈근모디·쟈근올미·쟈근토리 따위 사내이름과 쟈근이·쟈근가이(히)·쟈근금·쟈근년(녜)·쟈근덕이·쟈근비·쟈근아기·쟈근장이 …들 계집이름이 있다. <정종실록>을 보면 몸종을 ‘쟈근이’(小斤)로 부른다. ‘쟈근’이란 말이 작다는 뜻과 다른 뜻도 있음이 엿보인다.

크다는 말에 ‘한’과 ‘큰’이 있다. 땅이름에서는 ‘한’이 자주 쓰이고 사람이름에서 ‘큰’(大隱/大/大 )이 더 쓰였다. 사내이름에 큰가히·큰난이·큰노미·큰동이·큰쇠·큰아기·큰아희·큰이 따위가, 계집이름에 큰이·큰덕이·큰벌어지·큰비·큰아기 …들이 있다. ‘한’이 든 이름에 한이·한덕이·한덩이·한돌히·한비·한섬이·한쇠 …들이 쓰였는데, ‘한’이 꼭 ‘크다’는 뜻은 아닌 듯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667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317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8112
    read more
  4.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Date2020.06.17 By風文 Views1762
    Read More
  5. 전철을 밟는다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9898
    Read More
  6. 전철련

    Date2010.03.15 By바람의종 Views8550
    Read More
  7. 전운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7496
    Read More
  8. 전송과 배웅

    Date2010.12.19 By바람의종 Views13269
    Read More
  9. 전세값, 삭월세

    Date2008.11.11 By바람의종 Views6325
    Read More
  1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Date2020.06.16 By風文 Views1702
    Read More
  11. 전농동과 설렁탕

    Date2008.03.15 By바람의종 Views8914
    Read More
  12. 전년도, 회계연도

    Date2012.10.08 By바람의종 Views12439
    Read More
  13. 전광석화

    Date2007.12.18 By바람의종 Views6491
    Read More
  14. 적자

    Date2007.08.16 By바람의종 Views13308
    Read More
  15. 적이

    Date2007.03.23 By바람의종 Views7409
    Read More
  1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Date2022.07.31 By風文 Views1456
    Read More
  17. 저희 나라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8869
    Read More
  18. 저지

    Date2010.04.18 By바람의종 Views12251
    Read More
  19. 저어새

    Date2009.09.24 By바람의종 Views8316
    Read More
  20. 저린다

    Date2010.10.30 By바람의종 Views8804
    Read More
  21. 저리다 / 절이다

    Date2023.11.15 By風文 Views1422
    Read More
  22.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Date2009.03.24 By바람의종 Views22296
    Read More
  23. 저 같은 경우는?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6190
    Read More
  24. 쟈근아기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7030
    Read More
  25. 쟈고미

    Date2009.08.27 By바람의종 Views690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