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3

참 이뿌죠잉!

조회 수 622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 이뿌죠잉!

고장말탐험

‘-잉’은 주로 전라도 사람들이 말 끝에 붙여 쓰는 말로,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경상도 쪽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이’가 쓰이지만, ‘잉’과는 그 쓰임이나 분포에서 차이가 있다. ‘-잉’은 받침 ‘ㅇ’이 탈락하면서 ‘이’가 콧소리로 실현되기도 한다. “가지 말어라이~.” 최명희 <혼불>이나, 채만식 <탁류>에서도 ‘잉’이 흔하다. “밀지 말어. 자빠지겄네잉.” “문 열어요, 잉? 나두 들어가게 ….”

“끼니 거르지 말고 꼭 챙겨 먹어라잉.” ‘차 조심허고잉.’ 여기서 ‘잉’에는 타관 땅 자녀를 걱정하는 어미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친구 사이 혹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위협적인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도 한다. “시기는(시키는) 대로 히라(해라)잉.” “딴소리허믄 재미없을 줄 알아라잉.”

이처럼 ‘-잉’은 마음을 더 간곡하게 혹은 위협적으로 드러낼 뿐만 아니라, 공감해 주기를 바라거나, 공감할 것이라고 예상될 때도 쓴다. “아따, 그 자석 드럽게 싸가지 없는 놈이구만. 그러지잉.” “참, 이뿌죠잉.”

‘-응개, 긍개, 근디’ 등과 함께 ‘-잉’은 전라도말의 한 지표가 되는 말이다. 타관에서 ‘-잉’을 쓰는 사람을 만나면 왠지 반갑고 정겹게 느껴지는 것은 고장말이 주민 사이 유대나 동질감을 확보하는 수단이자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지인 까닭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51
3040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2089
3039 역겨움에 대하여, 큰일 風文 2022.09.22 2104
303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111
3037 ‘○○○ 의원입니다’ / ‘영업시운전’ 風文 2020.06.22 2122
3036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2131
3035 황금시간 / 우리말 속 일본어 風文 2020.06.11 2150
3034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151
303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2158
3032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163
3031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164
303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68
3029 갑질 風文 2024.03.27 2169
3028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2177
3027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2183
3026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86
3025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2188
3024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風文 2020.07.06 2199
3023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2202
3022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206
3021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2217
3020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227
3019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2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