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1

사룀글투

조회 수 653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룀글투

언어예절

전통적인 몇가지 ‘사룀글투’가 있다. 자손이 단출하나마 음식을 차려 제삿날 옛어른을 그리는 마음을 사뢰고, 드시라고 권하는 글이 축문이다. 언제·어디서·누가·누구에게·무엇을·왜·어떻게(여섯종자)를 한두 마디에 담아 사뢰고 비는 형식이다.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 ○○은 삼가 사뢰나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님 가신 날을 다시 맞으니 하늘 같은 가없는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포과를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모시는 대상이 성주나 산신령이라도 글틀은 비슷하고, 제를 지내는 연유 정도가 다를 뿐이다. 예컨대 뫼에 새로 상석이나 빗돌을 놓을 때 산신께 비는 말이라면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을 맞아 삼가 산신령께 사뢰나이다. 아무개의 봉분이 헐어, 돌과 흙을 더하여 상석을 놓고 손보고자 하오니 놀라지 마시옵고, 이로 말미암아 궂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돌보아 주시옵소서. 이에 몇 가지 음식과 술을 차려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틀과 내용이 썩 간략하고 곡진하다. 번거로움을 멀리하고 간략하고 진솔하게 하는 데서 예가 선다. 어떤 글자를 쓰든 사룀글도 여섯 종자가 바탕이 된다. 여기에 베풀어 자세히 하는 말과 바람들을 덧붙이는데, 고사문이나 고유문도 받들고 아뢰는 대상이나 연유를 달리할 뿐 틀과 뜻에서 다를 게 별로 없다. 길이를 조절하여 간곡한 마음을 더하고 덜할 뿐이다. 이런 틀은 전래굿을 비롯해 종교들에서 두루 비슷한데, 일 있을 때마다 써 버릇하고 행하면 한결 마음이 가다듬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56
1082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694
1081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185
1080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366
1079 바람의종 2008.08.03 6707
1078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070
1077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29
1076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46
1075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901
1074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21
»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35
1072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57
1071 바람의종 2008.07.28 6354
107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08
1069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9
1068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71
1067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78
1066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642
1065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36
1064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54
1063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17
1062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65
1061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