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1

사룀글투

조회 수 652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룀글투

언어예절

전통적인 몇가지 ‘사룀글투’가 있다. 자손이 단출하나마 음식을 차려 제삿날 옛어른을 그리는 마음을 사뢰고, 드시라고 권하는 글이 축문이다. 언제·어디서·누가·누구에게·무엇을·왜·어떻게(여섯종자)를 한두 마디에 담아 사뢰고 비는 형식이다.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 ○○은 삼가 사뢰나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님 가신 날을 다시 맞으니 하늘 같은 가없는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포과를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모시는 대상이 성주나 산신령이라도 글틀은 비슷하고, 제를 지내는 연유 정도가 다를 뿐이다. 예컨대 뫼에 새로 상석이나 빗돌을 놓을 때 산신께 비는 말이라면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을 맞아 삼가 산신령께 사뢰나이다. 아무개의 봉분이 헐어, 돌과 흙을 더하여 상석을 놓고 손보고자 하오니 놀라지 마시옵고, 이로 말미암아 궂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돌보아 주시옵소서. 이에 몇 가지 음식과 술을 차려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틀과 내용이 썩 간략하고 곡진하다. 번거로움을 멀리하고 간략하고 진솔하게 하는 데서 예가 선다. 어떤 글자를 쓰든 사룀글도 여섯 종자가 바탕이 된다. 여기에 베풀어 자세히 하는 말과 바람들을 덧붙이는데, 고사문이나 고유문도 받들고 아뢰는 대상이나 연유를 달리할 뿐 틀과 뜻에서 다를 게 별로 없다. 길이를 조절하여 간곡한 마음을 더하고 덜할 뿐이다. 이런 틀은 전래굿을 비롯해 종교들에서 두루 비슷한데, 일 있을 때마다 써 버릇하고 행하면 한결 마음이 가다듬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4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09
1764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20
1763 진정서 바람의종 2009.07.16 6317
1762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57
1761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51
1760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23
1759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26
1758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757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1756 노트·노트북 바람의종 2009.07.17 6267
1755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10
1754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95
175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33
1752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58
1751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69
1750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769
1749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94
1748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312
1747 내쳐, 내친 걸음에, 내친 김에 바람의종 2009.07.22 11136
1746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02
1745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22
1744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47
1743 당나귀 file 바람의종 2009.07.23 53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