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1

사룀글투

조회 수 649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룀글투

언어예절

전통적인 몇가지 ‘사룀글투’가 있다. 자손이 단출하나마 음식을 차려 제삿날 옛어른을 그리는 마음을 사뢰고, 드시라고 권하는 글이 축문이다. 언제·어디서·누가·누구에게·무엇을·왜·어떻게(여섯종자)를 한두 마디에 담아 사뢰고 비는 형식이다.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 ○○은 삼가 사뢰나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님 가신 날을 다시 맞으니 하늘 같은 가없는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포과를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모시는 대상이 성주나 산신령이라도 글틀은 비슷하고, 제를 지내는 연유 정도가 다를 뿐이다. 예컨대 뫼에 새로 상석이나 빗돌을 놓을 때 산신께 비는 말이라면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을 맞아 삼가 산신령께 사뢰나이다. 아무개의 봉분이 헐어, 돌과 흙을 더하여 상석을 놓고 손보고자 하오니 놀라지 마시옵고, 이로 말미암아 궂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돌보아 주시옵소서. 이에 몇 가지 음식과 술을 차려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틀과 내용이 썩 간략하고 곡진하다. 번거로움을 멀리하고 간략하고 진솔하게 하는 데서 예가 선다. 어떤 글자를 쓰든 사룀글도 여섯 종자가 바탕이 된다. 여기에 베풀어 자세히 하는 말과 바람들을 덧붙이는데, 고사문이나 고유문도 받들고 아뢰는 대상이나 연유를 달리할 뿐 틀과 뜻에서 다를 게 별로 없다. 길이를 조절하여 간곡한 마음을 더하고 덜할 뿐이다. 이런 틀은 전래굿을 비롯해 종교들에서 두루 비슷한데, 일 있을 때마다 써 버릇하고 행하면 한결 마음이 가다듬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43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08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001
1762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561
1761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63
1760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565
1759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67
1758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568
1757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69
1756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570
1755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573
1754 점심 바람의종 2010.08.17 8573
1753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573
1752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574
1751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575
1750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580
1749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583
1748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584
1747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584
1746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587
1745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589
1744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589
1743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590
1742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590
1741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