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1

사룀글투

조회 수 648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룀글투

언어예절

전통적인 몇가지 ‘사룀글투’가 있다. 자손이 단출하나마 음식을 차려 제삿날 옛어른을 그리는 마음을 사뢰고, 드시라고 권하는 글이 축문이다. 언제·어디서·누가·누구에게·무엇을·왜·어떻게(여섯종자)를 한두 마디에 담아 사뢰고 비는 형식이다.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 ○○은 삼가 사뢰나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님 가신 날을 다시 맞으니 하늘 같은 가없는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포과를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모시는 대상이 성주나 산신령이라도 글틀은 비슷하고, 제를 지내는 연유 정도가 다를 뿐이다. 예컨대 뫼에 새로 상석이나 빗돌을 놓을 때 산신께 비는 말이라면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을 맞아 삼가 산신령께 사뢰나이다. 아무개의 봉분이 헐어, 돌과 흙을 더하여 상석을 놓고 손보고자 하오니 놀라지 마시옵고, 이로 말미암아 궂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돌보아 주시옵소서. 이에 몇 가지 음식과 술을 차려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틀과 내용이 썩 간략하고 곡진하다. 번거로움을 멀리하고 간략하고 진솔하게 하는 데서 예가 선다. 어떤 글자를 쓰든 사룀글도 여섯 종자가 바탕이 된다. 여기에 베풀어 자세히 하는 말과 바람들을 덧붙이는데, 고사문이나 고유문도 받들고 아뢰는 대상이나 연유를 달리할 뿐 틀과 뜻에서 다를 게 별로 없다. 길이를 조절하여 간곡한 마음을 더하고 덜할 뿐이다. 이런 틀은 전래굿을 비롯해 종교들에서 두루 비슷한데, 일 있을 때마다 써 버릇하고 행하면 한결 마음이 가다듬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95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0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0976
2991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057
2990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3895
2989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1884
2988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091
298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7790
2986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783
2985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7826
2984 금도(襟度) 바람의종 2012.12.10 17579
2983 달디달다, 다디달다 바람의종 2012.12.05 21303
2982 썰매를 지치다 바람의종 2012.12.05 21444
2981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056
2980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144
297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790
2978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12.12.03 17709
2977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841
2976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8953
2975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495
2974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150
2973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647
2972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115
2971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1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