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8 15:32

조회 수 631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곰도 한 가지 재주는 있다. 우리나라에 가장 확실한 자원이 있다면 곧 사람인데, 일상에서 아웅다웅 살지만 사람마다 소중함이 더할 나위 없다.

겨레의 뿌리를 떠올리면, 곰은 신성한 상징성을 지닌다. 곰 여인(웅녀)이 단군의 어머니고 백두산을 달리 웅신산(熊神山)으로 일컬으며 공주의 본이름이 웅진 곧 곰나루임을 고려하면 예사롭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옛말에 곰은 ‘고마’였다.(신증유합) 곰이야말로 경건하게 삼가서 흠모해야 할 대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마 敬 고마 虔 고마 欽) 단군의 어머니가 곰신이었고 이는 창조신화의 뿌리샘이니까. 오늘날 진해의 옛이름이 웅신(熊神)이었음도 암시하는 바가 크다. 일본말로 곰은 ‘구마’이고 가장 큰 축제의 하나인 아이누의 구마마쓰리(熊祭)가 곰의 신성함을 더해 준다. 아이누말에서 신이 ‘가무이’인데, 우리말에서 신은 ‘검’(신자전)이었다. 조물주가 검(geom)이라고 최남선도 적고 있다. 우리말에서 검이 신임을 아는 이가 적다. 그렇게 배우지도 가르치지도 않았으니 모르는 게 이상할 건 없지만, 자기 것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는 있겠다.

‘고맙다’란 ‘고마에 같다’는 말이 합친 형태로 “당신의 은혜가 곰 어머니 곧 조상신과 하느님과 같다”는 뜻이 된다. ‘고맙다’야말로 겨레의 화두이고 뿌리의식을 드러낸 말이다. 어머니란 말도 고마(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개연성이 높다. 고맙소 향 깊은 언덕 무지개는 피리니.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61
2974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67
2973 고수레 風磬 2006.09.18 20527
2972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59
2971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51
2970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32
2969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025
2968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670
296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374
2966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02
296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187
2964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31
2963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64
2962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42
2961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453
2960 곤죽 風磬 2006.09.29 12262
2959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68
2958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27
2957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559
2956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66
» 바람의종 2008.07.28 6314
2954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392
2953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6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