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8 15:32

조회 수 634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곰도 한 가지 재주는 있다. 우리나라에 가장 확실한 자원이 있다면 곧 사람인데, 일상에서 아웅다웅 살지만 사람마다 소중함이 더할 나위 없다.

겨레의 뿌리를 떠올리면, 곰은 신성한 상징성을 지닌다. 곰 여인(웅녀)이 단군의 어머니고 백두산을 달리 웅신산(熊神山)으로 일컬으며 공주의 본이름이 웅진 곧 곰나루임을 고려하면 예사롭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옛말에 곰은 ‘고마’였다.(신증유합) 곰이야말로 경건하게 삼가서 흠모해야 할 대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마 敬 고마 虔 고마 欽) 단군의 어머니가 곰신이었고 이는 창조신화의 뿌리샘이니까. 오늘날 진해의 옛이름이 웅신(熊神)이었음도 암시하는 바가 크다. 일본말로 곰은 ‘구마’이고 가장 큰 축제의 하나인 아이누의 구마마쓰리(熊祭)가 곰의 신성함을 더해 준다. 아이누말에서 신이 ‘가무이’인데, 우리말에서 신은 ‘검’(신자전)이었다. 조물주가 검(geom)이라고 최남선도 적고 있다. 우리말에서 검이 신임을 아는 이가 적다. 그렇게 배우지도 가르치지도 않았으니 모르는 게 이상할 건 없지만, 자기 것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는 있겠다.

‘고맙다’란 ‘고마에 같다’는 말이 합친 형태로 “당신의 은혜가 곰 어머니 곧 조상신과 하느님과 같다”는 뜻이 된다. ‘고맙다’야말로 겨레의 화두이고 뿌리의식을 드러낸 말이다. 어머니란 말도 고마(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개연성이 높다. 고맙소 향 깊은 언덕 무지개는 피리니.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19
2996 계피떡 바람의종 2011.11.16 11863
2995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28
2994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11
2993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08
2992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80
2991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4
2990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73
2989 고닥, 고당, 곰만, 금상, 금매 file 바람의종 2010.03.05 10446
2988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56
2987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40
2986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23
2985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28
298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63
2983 고맙습니다 / 김지석 바람의종 2007.05.22 12611
298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29
2981 고명딸 風磬 2006.09.16 15755
2980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277
297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296
2978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21
2977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2976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307
2975 고뿔 風磬 2006.09.16 155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