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4 15:51

사룀

조회 수 728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룀

언어예절

웃사람, 손아픈 사람에게 말하는 것을 아뢴다거나 사뢴다고 한다. 말글은 사람끼리 뜻을 주고받는 연장이지만 하늘이나 혼령에게 뜻을 전할 때도 쓴다. 토지신·산신령·삼시랑에게 쓰는 말이 달리 없다. 흔한 축문이나 제문, 손비비며 하는 말도 그렇다.

신라적 ‘사뇌가’(詞腦歌)를 학자 김인환은 ‘사뢰는 노래’라 푼 바 있고, 화백(和白)도 사람들이 모여 ‘사뢰는 모임’이라고 했는데, 슬기로운 견해라 하겠다. 사뢰는 방식은 말뿐만이 아니라 노래·춤·풍류일 수도 있다.

사람끼리도 서로 존중하고 제대로 알린다면 여러 문제가 풀린다. 사과와 용서, 꾸짖음, 달램, 폭로 … 들도 사뢰는 방식의 하나다. 법률과 문학·음악·제도들이 결국은 이 사룀의 갈래들이다. 비손도, 선전·선동도, 선거도 사룀에서 비롯한다.

전달 방식도 무척 발달되었다. 붓 아닌 전자말이 큰 변화다. 신문·방송 등 언론이 대표 매체다. 공공기관·기업에서도 다양한 연장으로 손님들에게 사뢴다. 인터넷 매체도 버금가는 연장들이다. 그만큼 낱사람의 의견 발표·발언이 잦아지고 전달이 쉬워졌다. 저마다 사랑방·카페를 내거나 집을 지어 그림을 그리고 말글을 써댄다. 그렇다고 소통이 고급해지고 온전해졌는지는 의문이다.

말글보다 직접 실천하는 삶이 진정한 사룀의 방식일 수도 있다. 입이 온갖 허물이나 화근의 바탕이라는 말이 있다. 함부로 말하고 쓰기를 삼가라는 얘긴데, 이로써 반드시 말을 많이 한다거나 글을 자주 쓴다고 소통이 잘되는 게 아님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4511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605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8Nov
    by 바람의종
    2007/11/08 by 바람의종
    Views 9045 

    사발통문

  5. No Image 12Mar
    by 바람의종
    2010/03/12 by 바람의종
    Views 9809 

    사뭇 / 자못

  6. No Image 07Nov
    by 바람의종
    2007/11/07 by 바람의종
    Views 8025 

    사면초가

  7. No Image 13May
    by 바람의종
    2008/05/13 by 바람의종
    Views 7315 

    사리원과 원효

  8. No Image 26Aug
    by 바람의종
    2010/08/26 by 바람의종
    Views 10955 

    사리

  9. No Image 11Nov
    by 바람의종
    2011/11/11 by 바람의종
    Views 9844 

    사리

  10. No Image 26Dec
    by 風磬
    2006/12/26 by 風磬
    Views 8575 

    사리

  11. No Image 05Aug
    by 바람의종
    2009/08/05 by 바람의종
    Views 6789 

    사리

  12. No Image 29Jul
    by 바람의종
    2008/07/29 by 바람의종
    Views 6521 

    사룀글투

  13.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7289 

    사룀

  14. 사랑금이

  15. No Image 13Jul
    by 風文
    2022/07/13 by 風文
    Views 1222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16.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10/01/26 by 바람의종
    Views 11368 

    사람 이름 짓기

  17.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07/12/21 by 바람의종
    Views 6780 

    사람

  18. 사람

  19. No Image 19Jul
    by 風文
    2020/07/19 by 風文
    Views 2321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20. No Image 31Oct
    by 바람의종
    2007/10/31 by 바람의종
    Views 7307 

    사라져가는 언어(2)

  21. No Image 26Oct
    by 바람의종
    2007/10/26 by 바람의종
    Views 6583 

    사라져가는 언어(1)

  22.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41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23. No Image 26Dec
    by 風磬
    2006/12/26 by 風磬
    Views 7111 

    사또

  24.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10/01/28 by 바람의종
    Views 8676 

    사동사

  25. No Image 02Aug
    by 바람의종
    2009/08/02 by 바람의종
    Views 6632 

    사날, 나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