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4 15:49

모량리와 모량부리

조회 수 6739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량리와 모량부리

땅이름

경북 건천읍 모량리는 ‘양곡·역촌·모양’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역’이 붙은 것은 중앙선 기차역이 생긴 이후의 일이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름은 ‘모량’ 자체다. 토박이 사람들은 모량에도 안 모량과 밖 모량이 있었음을 기억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모량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지 못한다.

<삼국사기> 땅이름에서 ‘모량’이 나타나는 곳은 무진주다. 이곳의 옛 이름은 ‘모량부리’였는데, ‘부리’는 마을을 나타내는 땅이름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자 표기에서 ‘량’(良)은 처소나 방위를 나타낼 때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향가에 나타나는 ‘차량’(此良)은 ‘이에’, ‘수량’(手良)은 ‘손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모량’도 ‘모’에 해당하는 이름말과 처소나 방위를 나타내는 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런 이치를 참고할 때 ‘모량’은 ‘산’을 뜻하는 ‘뫼’에 처소를 나타내는 ‘에’로 분석할 수 있다. ‘모량리’가 산을 배경으로 형성된 마을이듯이, ‘모량부리’도 무등산을 끼고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을 갖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임진 옛 이름의 ‘모화’(毛火)나 동래의 ‘모등변’(毛等邊)도 ‘묏벌’이나 ‘묏가’를 뜻하는 말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까닭은 이들 땅이름이 산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 일이 두루 그러하듯, 소리와 뜻이 바뀌면서 먼 후일에는 무엇을 나타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아지는 것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다를 바가 없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70
2094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08
2093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88
2092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96
2091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9
2090 싸다 바람의종 2008.04.07 6938
2089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96
2088 십팔번, 가라오케 바람의종 2008.09.29 7138
2087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58
2086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90
2085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413
2084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675
2083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845
2082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11
2081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42
2080 실업난 바람의종 2009.02.04 8581
2079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22
2078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762
2077 실랑이와 승강이 바람의종 2010.04.24 10532
2076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88
2075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786
2074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65
2073 신토불이 바람의종 2008.10.30 74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